[내달초 개각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청와대가 18일 이례적으로 개각 (改閣) 을 예고했다.

다음달 초 대대적인 개각이 단행되며, 현 정부의 '2기 개혁 내각' 이 출범한다고 했다.

통상 개각은 이뤄지는 순간까지 비밀에 부치는 게 관례다.

공직사회가 동요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전까지도 부인하는 게 관례시됐다.

하지만 이번 만큼은 다르다는 게 청와대의 생각이다.

우선 시행착오들을 정리할 계기로 활용하고 싶은 것이다.

이런 저런 소리가 나왔던 국민연금 문제, 한.일 어업협정 등 모든 것을 싸잡아 떨쳐버리려는 것이다.

동시에 새 출발의 다짐을 실어보고 싶어서다.

이쯤에서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을 제고해야 할 필요도 있다.

2기 개혁 내각이라 부르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렇다고 2기 내각의 임무가 복잡한 것은 아니다.

새로운 개혁시책의 개발과 추진을 부여받겠지만 개혁의 연속성은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2기 내각의 개혁작업은 1기 내각과 방법을 달리할 것 같다.

지금까지의 개혁은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전부를 끌고가는 방식이었다.

하나부터 열까지를 대통령이 챙겨야 했다.

하지만 이제 그렇게 하기엔 개혁의 덩치가 너무 커졌고 다양해졌다.

그래서 앞으로는 공직사회 전체가 개혁의 견인차가 되도록 한다는 게 金대통령의 구상이다.

金대통령은 기회있을 때마다 "공무원은 개혁의 주체" 라고 역설해왔다.

그러면서 공직사회의 사기 앙양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한 적이 있다.

이제 金대통령이 개혁의 과업을 공직사회에 던져주는 것으로 그 약속을 지키려 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개각에는 공직사회 내부 승진인사가 많을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은 전한다.

의원 겸직 정치인 장관들이 복귀하는 것도 그런 맥락이다.

물론 총선 출마를 위해서이긴 하지만 꼭 그런 이유라면 좀 더 장관자리에 있어도 된다.

따라서 개각을 사전에 예고한 것은 공직사회의 기대감을 높여주기 위한 측면도 있다.

김중권 (金重權) 청와대 비서실장도 "공직사회 안정이 개각 요인 가운데 하나" 라고 말했다.

따라서 공직사회가 개각을 예고했다고 동요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런 연장선에서 볼 때 이번 개각은 조각 (組閣) 수준의 전면 개각이다.

물론 청와대측은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이미 대체적 구상이 마무리됐다는 후문이다.

사실 2기 개혁 내각 출범을 위한 작업은 두어달 전부터 비밀리에 시작됐다.

민정비서실도 장.차관급에 대한 여론 수렴을 했다.

새로이 들어설 장관들은 개혁성과 추진력.지역안배.참신성.전문성을 두루 갖춘 인물이 될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한다.

한편 이종찬 (李鍾贊) 국정원장 등은 유임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번 개각이 여권의 내각제 문제 등과 어떻게 맞물려 돌아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