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포괄적 포용정책 북한서 수용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17일 "북한이 공존공영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고 우리 제안을 수용하기를 기대한다" 며 한.미.일이 마련한 포괄적 대북 포용정책 수용을 북한측에 촉구했다.

金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월례 출입기자 간담회를 갖고 "대북 포용정책은 북한이 언제까지 수용하지 않으면 어떤 조치를 취하겠다는 식의 시한을 정해 놓은 것은 아니다" 면서 북한의 수용을 기대하고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金대통령은 "금창리 지하시설 사찰 결과 핵 의혹이 없는 것으로 나오면 한.미.일 3국이 마련한 포괄적 타결안 제안 등의 논의가 매우 활기를 띨 것" 이라고 전망했다.

金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 "남북이 합의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언제든 하겠으나 이를 최우선시하거나 최대 목표로 하지는 않을 것" 이라며 "정치적 판단을 배제한 채 모든 것을 균형있게 처리하되 기회가 오면 언제든 할 용의가 있다" 고 말했다.

金대통령은 이어 국내 문제에 대해 언급, "재벌이 정부와의 개혁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채권자인 은행을 통해 계속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이행을 요구해 나갈 것" 이라면서 "이제 과거와 같은 형태의 재벌은 이 나라에서 없어질 것" 이라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국민연금 확대 시행을 연기할 생각은 없으나 봉급 생활자가 억울한 부담을 지지 않도록 보완해 가겠다" 며 "정액 소득자에게 피해가 안가는 방향으로 처리하고, 내년 연금 지급액이 줄어들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 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부실 금융기관 정리 문제에 대해 "이미 책정된 64조원 이상의 공적자금을 투입할 계획이 없다" 며 "공적자금 투입이 국민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이 자금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인수한 주식값 상승분 등) 을 회수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