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코펜하겐서 ‘기후변화 총회’ … 이견 조율 난항 예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네덜란드 킨데르다이크 마을의 풍차가 7일 호수에 반사돼 색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이곳 풍차마을에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이 설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ED 조명은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인류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온실가스 감축 협상 시한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협상 성공 여부는 ‘제1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결정된다. 이 회의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12월 7~18일 열린다. 이 회의에서는 2013년 이후(포스트 교토의정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다.

1997년 합의된 교토의정서에는 선진국만 2008~2012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90년 대비 평균 5.2% 줄이도록 했다. 한국은 개발도상국 지위를 인정받아 감축 의무가 없다.

세계 각국은 2007년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13차 총회에서 2013년 이후에는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도 각자 능력에 맞게 감축에 참여하기로 기본 원칙에 합의했다. 코펜하겐 회의에서는 세부 실행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지난 100년간 지구 기온이 0.7도 상승했다. 추가로 2도 이상 상승하면 북극 동토가 녹으면서 이산화탄소(CO2)보다 온실효과가 20배인 메탄가스가 방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2도 이내로 묶으려면 선진국들은 2020년까지 25~40%, 2050년까지는 80%를 감축해야 하고 개도국들도 2050년까지 50%를 삭감해야 한다. 세계 각국은 9월 22일 세계 기후변화정상회의(유엔총회), 두 차례 실무회의(9월 28일~10월 9일, 11월 2~6일)를 잇따라 열어 이견을 좁힐 예정이다.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입장 차이가 여전하다. 미국 등 선진국은 중국·인도 등 개도국에 구속력 있는 감축 목표를 제시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개도국은 지구온난화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이 먼저 2020년까지 40%를 줄이라고 맞서고 있다. 또 선진국들이 연간 1500억 달러(약 185조원)와 기술을 지원해야 협상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미국이 감축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됐으나 최근엔 비관론이 퍼지고 있다. 미국의 기후변화 법안이 하원을 통과했으나 감축 목표가 그리 높지 않은 데다 상원 통과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유엔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의 이회성 부의장은 “국가 간 입장 차이가 커 이번에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우세한 상황”이라면서도 “선진국이 먼저 책임의식을 가지고 감축에 나선 뒤 개도국을 설득한다면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리더십을 발휘하고,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합의할 경우 막판 타결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김인환 한국기후변화학회장은 “코펜하겐 회의에서 어떤 형태로든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큰 틀에서 중국·인도 등이 참여하는 합의를 하고 개도국 참여 문제는 천천히 풀어가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찬수·홍혜진 기자, 파리=전진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