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댐 건설 논란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강원도 영월 동강댐 건설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댐 건설을 추진 중인 건설교통부는 '식수확보와 홍수조절을 위한 건설 불가피론' 을,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생태계 파괴와 안전성 문제' 를 들어 팽팽히 맞서고 있다.

26일 국회환경포럼 (회장 金相賢.국민회의) 주최로 서울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동강댐 어떻게 할 것인가' 란 주제의 정책토론회에서도 양측은 양보가 없었다.

건교부 이왕우 (李王雨) 수자원심의관은 "지하수 개발과 물 절약 등 수자원 관리만으론 수도권의 용수부족과 홍수조절 등 근본적인 물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어 댐을 꼭 건설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수자원공사 강종수 (康鍾洙) 댐본부장도 "동강 외에는 수도권에 다목적 댐을 지을 적당한 입지가 없다" 며 "동강지역의 지진.석회암 동굴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지만 댐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고 말했다.

이에 건국대 박종관 (朴鍾琯.지리학) 교수는 "건교부가 당초 생태계.지형.안전성 등의 항목을 부실하게 담은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고, 현재 보완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자연경관 보호.안전성 확보 등의 대안을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며 건설 백지화를 촉구했다.

朴교수는 특히 백룡동굴과 쉬리.조롱이.원앙 등 천혜의 자원은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교원대 정동양 (鄭東陽.기술교육학) 교수는 "홍수조절을 명목으로 현재 5백80만t에 이르는 용수를 바다로 방류하고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연 21만t의 용수확보가 가능하다" 며 동강댐 무용론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안영재 (安榮載) 자연보전국장은 "지금까지 세차례에 걸쳐 영향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동강 수질은 2급수에 머물러 있고 생태계 파괴도 우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며 "8월 말께 보완서가 제출되면 수질.생태.지형.안전성 등을 종합분석해 환경부 공식입장을 밝히겠다" 고 말했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