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발 '개각 전주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개각설 (改閣說) 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안좋은 일이 잇따르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소동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 터진 한.일 어업협정 파문도 주요한 요인이다.

급기야 김선길 (金善吉) 해양수산부장관이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공직사회의 동요를 우려한 듯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 대변인은 개각 단행을 부인했다.

그러나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어업협정 문제가 민심에 대단히 좋지않은 영향을 주었다" 는 2일 국무회의 지적과 김중권 (金重權) 청와대 비서실장의 언급은 개각 가능성을 크게 하는 조짐으로 비치고 있다.

金실장은 비서실 직원 월례조회에서 최근의 잇따른 정책난조를 신랄히 비판했다.

그는 국민연금, 한.일 어업협정, 한자병용, 의약분업, 장기수 북송 문제 등에 말 그대로 문제가 있다는 평가와 비난을 그대로 소개했다.

그동안 일이 터질 때마다 정부가 해오던 변명이나 해명같은 건 아예 인용조차 안했다.

그러면서 金실장은 "국정운영 시스템이나 정책 컨트롤타워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는 점도 지적했다.

金실장은 "집권 1년을 전기로 삼아 지난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난극복과 제2건국을 위해 국정전반에 걸쳐 '더 조이고 다져도' 모자랄 터인데 오히려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크게 경계하고 스스로를 돌이켜 봐야 한다" 며 자성을 촉구했다.

金실장은 "개혁의 성공은 법과 제도를 바꾸고 보완하는 단편적인 대응만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며 인식과 변화, 대통령의 분신인 비서실 직원들의 주도적 역할을 역설했다.

金실장은 이어 여권의 신.구주류간 갈등설을 일축하면서 "우리에게 편가름은 있을 수 없다" 고 강조했다.

金실장의 발언은 조회 후 보도자료로 기자실에 배포됐다.

자성하는 모습을 알리고자 하는 의도 외에 다른 여러 이유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개각의 불가피성 예고도 그중 하나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