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 거부 배경] 야, 부산.서울집회도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계개편을 포기하지 않는 한 여야 관계 정상화는 어렵다" (安澤秀대변인) . "다른 당직자들의 말은 뒤집을 수 있지만 대통령이 직접 나섰으니 이제 투쟁밖에 할 수 없는 것 아니냐" (李富榮총무) . 한나라당의 목소리가 점차 거세지고 있다.

1일 총재단회의와 민주수호투쟁위원회는 정부.여당에서 정계개편을 포기하겠다는 해답이 나올 때까지 장외투쟁 기조를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安대변인은 "정부.여당이 야당을 파괴해 없애버리겠다고 하는 망상을 버리지 않고서는 여야 총재회담은 물론이고 다른 모든 대화도 하기 어렵다" 고 단언했다.

그동안 야당이 여러가지 요구를 해왔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여당이 야당 존재 자체를 없애버리겠다고 하는 야당 파괴 공작" 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신경식 (辛卿植) 총장도 이날 국민회의 정균환 (鄭均桓) 총장의 만나자는 제의를 거절했다.

"지금 총장들이 만날 시점은 아니다" 는 것이다.

내친 김에 마산.구미에 이어 인천에서 대규모 규탄집회를 열기로 했다.

86년의 '5.3인천사태 (대규모 노동자집회)' 를 주도했던 김문수 (金文洙) 의원을 내세워 본격적인 장외집회를 벌이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에서는 권역별 옥내집회, 부산에서는 매머드 장외집회를 갖는 방안도 마련중이다.

장외집회를 계속하는 것은 그 외에 마땅한 대응카드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더구나 장외집회는 여당의 흔들기로 동요하는 소속의원을 붙들어놓는 것은 물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민심을 다지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는 것. 이회창 총재가 장외집회와 별도로 빅딜 및 한.일어업협정으로 피해를 본 지역을 대상으로 '민생현장 순방' 을 계획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