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문회 19일 휴전…'합동청문회' 물밑 모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반쪽 청문회' 로 막이 오른 경제 청문회에 야당이 들어갈 것인가.

18일 박준규 (朴浚圭)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여야 총무회담에서 합동청문회 가능성이 열렸다.

3당 총무들은 청문회에서 비리를 캐기보다 정책쪽에 초점을 맞추기로 합의한 것이다.

정책청문회는 한나라당의 요구사항이다.

총무회담 직후 여야는 이런 대화분위기를 뒷받침하기 위해 성의표시를 했다.

국민회의.자민련은 청문회를 19일엔 쉬기로 했다.

한나라당도 장외투쟁을 멈추기로 한 것이다.

이같은 전격적인 방향 선회는 여당 단독 청문회가 양쪽 모두에 상처만 줄 것이라는 공감대가 여야 지도부 사이에 형성됐기 때문. 여권은 혼자만의 청문회에서 환란 (換亂) 원인의 속시원한 규명을 하지 못할 경우 직면할 비난을 걱정하고 있다.

한나라당도 청문회를 외면한 채 장외로만 나돌 경우 여론의 질타를 받는 것이 부담스럽다.

때문에 이날 총무협상은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한나라당 이부영 (李富榮) 총무는 "전체를 조감하면서 문제를 풀어야지 사안 하나 하나에 얽매여선 안된다" 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회의 한화갑 (韓和甲) 총무에 대해 "상대 입장을 미리 알고 문제를 풀려는 대화론자" 라고 치켜세웠다.

韓총무도 "대화로 난제를 풀자" 고 화답했다.

그렇다고 불씨가 제거된 것은 아니다.

미타결 쟁점이 남아 있다.

청문회 특위 위원 숫자를 놓고 총무들은 기존입장을 고집했다.

韓총무는 "여야 동수는 안되며, 10 (여당) 대 9 (야당) 대 1 (무소속) 방식도 곤란하다" 고 난색을 표했다.

대신 "증인채택 문제는 충분히 협의한다" 고 절충안을 내놓았다.

韓총무는 "개인적으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증언대에 서는 것을 반대해왔다.

김종필 총리도 이런 입장을 표시하지 않았느냐" 고 말했다.

이를 놓고 'YS의 청문회 불출석' 과 청문회 특위 위원 배정문제를 맞바꾸는 협상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정치권 일각에서 나돌고 있다.

국정조사계획서의 여당 변칙처리에 대한 사과 문제도 남아 있다.

한나라당은 공개적 유감표명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대화의 물꼬가 트이긴 했지만 청문회 협상 전망을 낙관하긴 아직 이르다는 관측이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