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 중국반응]결제시스템 마련·수출대책 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유럽 단일통화 유로화의 역사적 출발이 열흘 앞으로 다가와 지구촌 각국들은 막바지 준비에 분주하다. 중국은 외환보유액중 유로화 비중을 장차 4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금융위기를 겪은 동남아 국가들도 달러비중을 낮춰 환율안정을 꾀한다는 복안이다. 미.일은 막강한 경쟁자의 등장이라는 점에서 적이 경계하고 있다. 유로시대를 앞둔 주요국 시각과 움직임을 모았다.

중국에선 요즘 유로화 출범이 중국경제에 미칠 전망 등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한창이다. 중국 정부는 크게 3개 분야에 중점을 두고 대비책을 마련중이다.

첫째가 유로화 통용에 발맞춘 결제시스템의 구축이다. 지난 17일 중국공상은행은 유로화 출범과 동시에 유로화 상품과 관련된 금융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두번째는 세계 2위를 자랑하는 외환보유액의 통화비중 조정이다. 지난 10월말 현재 중국 외환보유액은 1천4백37억달러. 이중 달러가 62%에 이른다. 중국은 유로화가 과도기를 거쳐 안정세에 접어들 경우 달러가치의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판단 아래 달러보유를 낮추고 유로화를 늘려야겠다는 복안이다. 종국엔 달러와 유로화를 각각 40%로 하고 나머지 20%를 엔화로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세번째는 당분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대(對) 유럽 수출을 어떻게 안정시키느냐는 것이다. 유럽이 유로화 단일 통화권으로 통합됨에 따라 유럽 각국에 가격을 달리해 수출했던 이른바 차등가격 수출작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는 별로 뾰족한 대책이 없어 관계당국은 고민만 하고 있는 형편이다.

베이징 = 유상철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