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쓰레기 처리시설 싸고 대전-구청 마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설 설치를 둘러싸고 대전시와 산하 구청들 사이에 마찰이 일고 있다.

폐기물관리법상 전국의 모든 시.군.구가 오는 2005년부터 의무적으로 음식쓰레기 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함에 따라 대전시는 최근 각 구청에 공문을 보내 "2000년까지 자체 처리시설을 설치하라" 고 지시했다.

시는 "쓰레기 처리는 구청장 고유사무이기 때문에 각 구청이 스스로 음식쓰레기 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고 밝혔다.

시가 이처럼 음식쓰레기를 각 구청이 처리토록 방침을 정하자 시 쓰레기위생매립장 (유성구금고동)에 자체 음식쓰레기처리장 부지를 확보한 유성구를 제외한 나머지 4개구는 일제 반발하고 있다.

이들 구청측은 "시가 금고동매립장에 이미 음식쓰레기 처리시설을 만들어 시설 확장계획까지 세워놓고도 구청들 스스로 처리시설을 만들도록 요구하는 것은 너무 이기적인 처사" 라며 "시가 금고동매립장에 공동처리시설을 만들어 5개구와 함께 운영하면 될 것" 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말 금고동매립장에 하루 10t처리규모의 음식쓰레기 퇴비화 시설을 시범 설치, 내년에 이 시설의 처리규모를 하루 30t으로 늘릴 방침이다.

한편 대전시와 각 구청간의 주장이 상반된 가운데 대전시의회가 구청측 의견에 동조하고 나서 주목된다.

시의회산업건설위원회는 최근 대전시가 금고동매립장내 음식쓰레기퇴비화 시설을 증설해 주도록 의견청취를 요청해 온 것과 관련, "음식쓰레기 처리시설의 경우 주민 민원이 많은 이른바 '혐오시설' 이기 때문에 구청들이 스스로 부지를 마련하기가 어려운 데다 각자 설치하면 비용도 많이 든다 "며 " 따라서 시가 한꺼번에 설치한 뒤 구청들과 공동운영하는 게 바람직할 것" 이란 내용의 건의안을 만들어 시에 보냈다.

대전 =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