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정부질문]정치분야-2대의혹 단상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총풍' . '세풍' 사건을 놓고 여야의원들은 또다시 일전을 벌였다.

여당의원들은 "정치적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며 철저한 수사를 주장한 반면 야당의원들은 "고문조작 의혹으로 바뀐 '총풍사건' 에 대해 현 정권은 책임을 져야한다" 고 맞받아쳤다.

한나라당 이재오의원은 "현 정부는 과거 정보부가 자행했던 고문.도청.집회방해의 공포를 재현시켰다" 고 칼날을 세웠다.

이에 맞서 국민회의 안동선의원은 "총풍.세풍사건에 대한 수사는 역사적 범죄에 대한 단죄" 라며 "우리 모두 수사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고 말했다.

자민련 김학원의원도 "정치권이 이 사건을 무절제한 정치공방으로 다뤄 사건의 본질을 애매하게 만들었다" 며 "공정한 수사를 통한 진위여부와 배후세력을 명백히 밝혀야 한다" 고 주장. 한나라당 의원들은 특히 고문조작 의혹에 대해 매섭게 추궁했다.

이세기의원은 "고문조작 의혹으로 인해 노벨평화상 후보에 오른 김대중 대통령의 이미지가 큰 손상을 입었다" 며 "특별검사를 임명해 진상을 규명하라" 고 다그쳤다.

불법감청 문제에 대한 공방도 거셌다.

김학원의원과 한나라당 이부영 (李富榮) 의원은 "도청의 희생자였던 金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에서 감청이 허용되고 있다면 중대한 문제" 라며 "감청의 요건을 보다 엄격히 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답변에 나선 김종필총리는 "총풍사건 수사과정에서 가혹행위 시비가 발생하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 이라며 "검찰수사가 끝나면 안기부 수사관들에 대한 처벌여부를 결정하겠다" 고 말했다.

박상천 (朴相千) 법무장관은 "불원간 당정협의를 통해 긴급 감청후 48시간내에 허가서가 안 나올 경우 그후 허가서가 나오더라도 중지토록 통신비밀보호법을 개정하겠다" 고 답변했다.

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