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국민의식조사]양국 현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일 양국 현안에 대한 국민 생각을 들어보면 정치문제와 경제.외교적 부문 사이의 이중적인 자세가 분명히 확인된다.

'과거사' 에 관한 한 대체로 단호한 입장이다.

군대위안부 문제는 "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소멸됐다" 는 일본 정부측 주장에 대해 '당시는 사건진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잘못된 것' (83.3%) 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여하튼 양국 정부가 협정을 맺었으므로 일측 주장이 맞다' (12.8%) 는 쪽은 소수.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전원에게 3천5백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대신 일본 정부에 직접배상은 요구하지 않기로 한 것에도 '요구해야' (75.1%) 라는 주장이 '이쯤에서 마무리해야' (22.6%) 보다 3배 가량 많다.

'당장의 현안' 에는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과 관련해 '국경없는 문화교류시대이므로 당연하다' (38.3%) 는 쪽과 '아직은 시기상조' (35.6%) 및 '저질.상업문화의 범람 우려 등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24.8%) 는 쪽으로 나뉘어 현시점만을 기준으로 보면 반대여론이 더 많으나 시간이 지나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金대통령에게는 10월 7일 일본 방문을 통해 '군대위안부 등 양국 과거사 정리' 와 '대한 투자 등 일본의 우리 경제난에 대한 협력' 을 비롯, 한.일 무역불균형 시정 등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독도문제, 일본 대중문화개방, 한.일 각료간의 정기간담회 개최 등도 해결할 것을 제시했다.

김대통령으로서는 정치·외교문제와 경협이라는 양측을 조화시켜면서 원만히 처리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은 것이다.

김행 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