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살아난다! 연체율 낮아지고 2분기 순익 늘어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내 은행의 건강상태가 빠르게 호전되고 있다. 2분기 이후 연체율은 낮아지고, 자기자본비율은 높아지고, 순이익은 불어나는 추세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실물 경기 침체의 충격에서 회복되고 있는 모습이 경영지표로 속속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은행의 체력이 좋아지면 곧 기업과 가계로 돈을 중개해 주는 기능이 원활해진다. 경제 전체로 보면 뭉쳤던 ‘혈액순환’이 풀리면서 경기 회복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18개 은행의 6월 말 기준의 대출 연체율은 1.19%로 전달보다 0.41%포인트 하락했다. 올 들어 최저치다. 미국의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했던 지난해 9월(0.97%) 수준엔 못 미치지만, 올 2월을 정점으로 하락세가 뚜렷해졌다.

특히 은행들이 우려했던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급락했다. 중소기업의 연체율은 1.86%로 전달에 비해 0.72%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가계대출의 연체율도 함께 하락했다.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과 일자리 나누기가 효과를 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김영대 금감원 은행서비스총괄국장은 “가장 우려했던 게 은행의 연체율인데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며 “연체율은 7월에 소폭 높아질 수는 있겠지만 연말로 갈수록 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은행의 순이익도 늘고 있다. 금감원과 은행권에 따르면 올 2분기 국내은행들은 1조3000억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2분기 순이익(3조3000억원)의 40%에 불과하지만, 지난해 4분기 적자(-5000억원)를 내고 올 1분기 8000억원의 순이익을 낸 데 비하면 크게 개선된 것이다.

윤용로 기업은행장은 “예상보다 기업 대출의 부실이 커지지 않아 은행의 순이익도 덩달아 늘고 있다” 고 말했다.

한때 외신들이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던 은행의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의 비율), 외화자금 사정 등 각종 건전성 지표도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조병문 상무는 “연초에 우려했던 은행들의 부실 우려는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준현·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