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상임위장 배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총리임명동의안 처리의 해결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심은 이제 국회 상임위원장 배분에 모아지고 있다.

여야는 14일로 예정된 한나라당 의총에서 총리임명동의안 처리의 가닥이 잡히는대로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협상전망은 대체로 밝은 편이다.

전체 16개 상임위를 여야가 8개씩 (한나라당8.국민회의5.자민련3) 나눠 가진다는 데는 여야 총무간에 잠정적인 합의가 이뤄진 상태. 남은 문제는 어떤 상임위를 어느 당이 가져가느냐다.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상임위는 운영위와 법사위 정도. 결국에는 하나씩 나눠 가질 공산이 크지만 한나라당과 국민회의는 운영위원장 자리에 더 욕심을 내고 있다.

전반적인 국회운영을 책임진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기 때문. "운영위에 너무 연연하지 않겠다" 는 박희태 총무 등 한나라당 일부의 기류를 감안할 때 '운영위→국민회의, 법사위→한나라당' 으로 매듭지어질 공산이 커 보인다.

운영위와 법사위를 뺀 나머지 상임위에 대해선 여야 모두 양보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라 의외로 싱거운 협상이 될 수도 있다.

국민회의는 "운영위만 준다면 나머지는 큰 미련이 없다" 는 입장이고, 한나라당도 "정부와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임위는 내줄 용의가 있다" 며 큰 집착을 두지 않고 있다.

오히려 문제는 당내 조율이다.

특히 상임위원장을 계파간에 골고루 나눠줘야 하는 한나라당은 벌써부터 계파보스간 눈치싸움이 한창이다.

그나마 국민회의는 5개 상임위원장중 하나를 국민신당에 떼어내 주기로 했다.

국회의장 선출 등에서 여권에 협조해 온 국민신당에 대한 보답차원이다.

재선 이상 의원들이 저마다 군침을 삼키고 있어 교통정리도 쉽지 않을 것이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