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집권당 위상 강화 자성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집권당의 위상을 찾자" 는 자성론이 국민회의에 거세게 일고 있다.

2일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의 사의표명 소동이 직접적 계기가 됐다.

'덜 성숙된 여당' 이란 지적을 받아온 터에 이번 소동으로 '정책혼선' 이란 비판이 안팎에서 불거지면서 바짝 긴장한 분위기다.

당을 겨냥한 청와대의 노골적인 불만 표시도 최근들어 잦아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 넉달이 지났는데도 집권여당으로 탈바꿈하지 못하고 있다는 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와중에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대변인은 3일 기자간담회에서 "검증되지 않고 미확인된 내용들이 (언론에) 나와 국민들에게 송구스럽다" 며 " (당의) 발상의 전환이 시급하다" 고 지적했다.

그린벨트 해제, 한총련의 이적단체 제외 문제 등 최근 일부 언론의 잇따른 오보 (誤報) 를 부른 당 정책관계자들의 실언 (失言)에 대한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심기를 전한 것임은 물론이다.

전날 조세형 (趙世衡) 총재권한대행 및 당3역과의 주례보고때도 金대통령이 이같은 생각을 강도높게 전달했다는 전언이다.

이같은 지적을 대체로 시인하면서도 국민회의 한편에선 항변도 잇따른다.

당이 함께 뛰고 참여할 공간을 마련하지 않는 현재의 국정운영체제에도 문제가 있지 않느냐는 얘기다. 때문에 3일 간부간담회에서는 "이대로는 안된다" 는 각성과 함께 당과 당정 쇄신책이 대거 제기됐다.

화두는 정책혼선 모양새를 연출한 관계간부들의 '가벼운 입' .수뇌부의 강도높은 '입조심' 주문, 그리고 경솔했음을 시인한 관계자들의 유감표명도 있었다. 변화를 주문하는 중진들의 목소리도 잇따랐다.

그동안 품어온 속내들이 하나둘 튀어나왔다.

당정 및 당운영체계와 비민주적 요소들에 대한 퇴출 주문도 일부 참석자에 의해 제기됐다. 결론은 '당이 중심이 된 개혁추진' 으로 맺어졌다.

이를 위해 임채정 (林采正) 의원을 위원장으로 개혁추진대책위를 구성키로 했다.

이같은 분위기가 전달되자 당직에서 소외된 현역의원들의 개별적인 의견개진도 잇따랐다. "80명의 의원들이 독립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당이 돼야 한다" "당정을 국회상임위 중심으로 전환해 전문성을 살려야 한다" 등등. 갑자기 말의 봇물이 터진 양상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