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은행 업무정지로 대전시와 구청들 타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퇴출되는 충청은행의 업무정지로 이 은행을 금고로 지정한 대전시와 산하 구청들이 재정운용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각종 기금을 포함, 총 3천3백76억원을 충청은행에 예치해두고 있는 대전시의 경우 당장 30일이 납기인 상.하수도특별회계 기채 (起債) 원리금상환금 (총 68억원) 및 정부의 중소기업자금지원금 (9억1천만원) 을 갚지 못해 가산금을 물게 됐다.

전화요금및 전기료 2천만원을 포함, 각종 공과금과 이자 등 2억원을 30일까지 내야하는 대전중구청도 현금인출이 모두 중단되자 관련 직원들이 발만 동동 구르며 대전시와 재경부에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다행히 인수은행인 하나은행측에서 30일 공사대금등 1백2억여원을 무이자로 지원키로 해 당장 급한 불은 껐다" 며 "그러나 업무정지가 계속되면 직원복리후생비 (매달 1일 지급.1인당 평균 30만원) 는 물론 소모품비 지급 등을 할 수 없게 돼 행정업무 수행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고 말했다.

중소기업들의 사정은 더욱 절박하다.

대전시는 IMF로 인한 기업들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예년보다 한달 앞당겨 7월1일부터 시내 2백19개 중소기업에 업체당 3천만~5억원씩 총 2백억원의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키로 하고 충청은행 퇴출 결정 하루전인 지난달 27일 해당 업체에 "7월1일부터 충청은행 본.지점에서 융자를 받으라" 고 통보했다.

오토바이용 쟈켓 제조업체인 ㈜한일 윤복하 (尹福夏.65) 관리이사는 "연간 2천만달러 (약 3백억원) 어치의 쟈켓을 수출하는데 IMF 이후 경쟁국이 치고 들어와 어려움이 많다" 며 "융자금 5억원이 제때 지급되지 않으면 수출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고 걱정했다.

대전 =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