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그때 오늘

그리스 문명 이어받은 이슬람 몽매한 서유럽을 ‘개화’시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41면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에는 14세기 초 유럽 수도사들이 ‘아랍어 문서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장면이 나온다. 수도원 사서들에게 아랍어 해독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됐다는 설명도 뒤따른다. 아랍어를 중세 유럽의 공용어인 라틴어로 번역했다는 것은 서유럽인이 이슬람으로부터 뭔가 배웠음을 뜻한다. “대체 서유럽이 아랍으로부터 뭘 배운단 말인가?”라는 의문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근대 이후 서양문명이 이슬람을 압도했던 까닭에 우리 뇌리에는 ‘이슬람문명은 서양문명보다 뒤떨어진 문명’이라는 부정적 고정관념이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유럽이 이슬람보다 우월하다는 시각은 ‘최근 수백 년’에 한해 맞는 말이다. 서기 7세기 이후 500년 동안 이슬람은 고대 그리스의 과학·철학을 소화해냄으로써 서유럽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월한 문명을 건설했다. 이슬람은 단순히 그리스 학문을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독창적으로 끌어올렸고, ‘야만 상태’의 서유럽은 12세기 이후 이슬람 학자들이 소화한 그리스 학문을 받아들임으로써 문명을 도약시켰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대표적 사례다. 유럽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그리스어→라틴어’로 직접 번역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어→아랍어→라틴어’로 중역(重譯)된 텍스트를 통해 처음 그리스 사상을 접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기독교에 융합시킨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은 이렇게 해서 탄생했다. 역사가들이 ‘12세기의 르네상스’라고 부르는 서유럽의 번영은 이슬람의 학문적 성취가 없었다면 이룩될 수 없었다.

서유럽이 이슬람에 얼마나 신세를 졌는지는 아랍어를 어원으로 한 수많은 영어단어만 봐도 알 수 있다. 교통(traffic)·관세(tariff)·창고(magazine)·알코올(alcohol)·오렌지(orange)·레몬(lemon)·설탕(sugar)·대수학(algebra)·영(zero)·연금술(alchemy)·알칼리(alkali) 같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영어단어들이 아랍어에서 유래했다. 이슬람은 중세 서유럽의 스승이자 은인이었다.

지난 4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집트 카이로 대학에서 15억 이슬람교도들을 향해 화해를 제안하는 역사적 연설을 했다(사진=AP). 그는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싸우는 것이 미국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고정관념 깨뜨리기’는 한때 서양이 스승으로 받들었던 이슬람의 위상을 재인식하는 것으로 출발점을 삼아도 좋을 듯싶다.

박상익(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서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