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기관들, 국가신용평가 기준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아시아 경제위기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해 따가운 비판을 받았던 신용평가기관들이 평가 체계를 보완하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S&P) 와 무디스.피치 IBCA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들은 평가 요소를 확대하고 단기부채에 대한 관찰을 더 강화하고 나섰다.

피치 IBCA의 크리스토퍼 허니 국장은 "과거에는 과도한 빚을 안고 있는 채무국의 단기채무만 주시해 왔지만 이제는 모든 나라의 단기부채를 주시하고 있다" 고 밝혔다.

무디스는 과거의 방식으로는 아시아 경제위기와 같은 상황을 미리 경보 조치할 수 없다고 분석하고 새로운 평가 체계를 시험 중이다.

2차 대전 이후 실제로 파산한 국가가 하나도 없는데다 최근에는 경제난에 부닥친 국가들이 국제통화기금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해 과거처럼 파산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의미가 없어졌다고 이 회사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무디스는 'IMF 구제금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는 식의 경보 체제를 가동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S&P는 경기 후퇴가 금융기관에 어떤 압박을 가하는지 주목하기로 했다.

또 경기 후퇴시 악성부채로 변할 수 있는 국내 부채의 규모에 따라 세계 금융시스템을 5등급으로 분류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중국은 개도국중 매우 불안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S&P는 그러나 "이 점이 중국의 위기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고 덧붙였다.

정부 지급보증을 받은 민간기업의 부채가 아시아 위기에서 문제가 됐던 점을 주목해 S&P는 잠재적인 부채 (우발 채무) 도 평가 요소에 포함시켰다.

중국.일본.말레이시아.태국은 우발 채무가 국내총생산 (GDP) 의 30% 이상에 달한다.

이들 평가기관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대목은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 조작 가능성이다.

S&P는 이에 대비해 각국 중앙은행이 지불준비금과 유동성을 얼마나 잘 조절하고 있는지에 대해 일시에 조사.발표할 계획이다.

피치IBCA도 외환보유고 적정 여부를 3개월 분의 수입액과 비교해왔던 전통적인 방식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 과거의 자본 흐름과 외국인 주식 보유 규모 등을 참고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