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소원…치명적 실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의 2차 핵실험을 계기로 북한의 혈맹인 중국이 북한과 거리 두기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외신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북한이 2차 핵실험으로 유일한 우방인 중국과 관계가 멀어졌으며 북중 관계가 멀어진 것은 북한에 치명적 실수"라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이 그간 김정일 정권의 붕괴와 그에 따른 난민유입 사태를 우려해 대북 제재에 소극적이었지만 이제는 적극적인 제재에 나설 수 있다"면서 "국제사회는 중국이 오래된 고객(북한)으로부터 조용히 플러그를 뽑는 모습을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이 식량, 에너지, 사치품 등 수출금지 조치를 내리는 방식으로 북한에 충격을 줄 능력과 의지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데니스 와일더는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김(김정일 정권)이 너무 멀리 갔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중국은 북한이 "마초적 행동"으로 동북아시아에 너무 큰 불안정을 조성하고 있다고 여길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북한의 대중 무역의존도가 73%에 이르는 상황에서 중국이 대북 경제제재에 적극 나설 경우 북한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당장 단둥에서 평양으로 들어가는 사치품을 차단해도 북한 정권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 와일더 전 보좌관은 "북한이 마피아 조직처럼 운영되고 있다"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상위 계층에 사치품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그에 대한 충성이 흔들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 브루킹스연구소의 리처드 부시 연구원은 "중국이 작정한다면 북한을 굴복시킬 수 있다"며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 저지를 위해 외교적 방법에 의존하던 태도를 버리고 경제 제재에 나설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을 계기로 중국이 보다 강경한 태도를 취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협력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