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도심도 재개발 - 서울시 기본계획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시의 주택재개발 대상 지역이 역세권.도심 주변지역까지 확대된다.

이에따라 오는 2011년까지 3백30여만평이 추가로 재개발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27일 이같은 내용의 '주택재개발 기본계획안' 을 확정, 발표했다.

이는 현재의 재개발 사업이 사업성 위주로 무계획적으로 이뤄져 도시전체의 균형개발을 해친다는 지적에 따라 지역별 균형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재개발 지역은 불량.영세 주택이 ㏊당 70가구 이상 밀집된 과밀주택지가운데 ▶건축허가 최소대지면적의 50%이상 ▶무허가 주택중 국공유지 50%이상 ▶지구내 4m 이상의 도로 접도율 50%미만 지역이 해당된다.

이 경우 재개발 대상 범위가 종전 구릉지를 포함한 일반주택지 중심에서 역세권.도심.부도심.지구중심 주변까지 넓어진다.

이와함께 재개발 대상지의 해발표고와 경사도에 따라 계획용적률 (공공시설면적 포함) 이 1백80%~2백20%까지 차등화된다.

이 가운데 순수 주거기능 위주로 재개발될 경우는 용적율 2백%까지, 역세권과 도심.부도심은 2백20%까지 허용된다.

시는 특히 학교.도로.공원등 공공면적 확보에 따른 인센티브제를 도입, 개발용적률을 최고 2백50%이상까지 가능토록 했다. 이같은 재개발 사업은 2001년, 2006년, 도시기본계획 완공목표년도인 2011년까지 3단계로 나눠 단계별로 추진된다.

시는 다음달 3일 시민 공청회를 열어 시민의견을 수렴한뒤 시의회 의견청취와 도시계획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6월부터 재개발기본계획을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기존의 재개발구역은 4백5만여평으로 이중 89%인 3백61만여평이 이미 재개발됐거나 시행중이다.

김관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