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감염은 없나? [질병관리본부장 문답]

중앙일보

입력

국내에서 첫 돼지 인플루엔자 추정환자가 발견됐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본부 이종구 본부장은 28일 오후 서울 계동 보건복지가족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종구 본부장: 오늘 국내에서 추정환자가 발생했음을 보고드린다. 환자는 51세 여자환자로 19일부터 멕시코시티 남부 몰렐로스 지역을 여행하고, 4월 26일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였다.입국 후 기침, 콧물, 발열(37.7℃) 증상이 있어 보건당국에 자진 신고했으며, 인후도말 검체채취 검사 결과 돼지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추정환자로 진단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를 국가지정병원 음압격리병상에 입원해 치료 및 경과를 관찰하고 있으며, 국내 입국자 중 환자와 같은 비행기에 탑승한 탑승객 315명 전원에 대해서는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발현 여부를 추적조사하고 있다. 또한, 동일기관 거주자 40명 전원에게 타미플루 투여를 완료했으며, 조사결과 현재 2차감염 사례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내에서 돼지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추정환자가 보고됨에 따라 멕시코, 미국 등을 통해 추가로 환자가 입국할 수 있으므로 환자발생 지역으로부터의 모든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으로 여행 자제를 부탁하고 있다. 국민들도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입국 7일 이내 발열, 두통, 몸살, 콧물 등의 증상이 있으면 인근 보건소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질: 검사법은 ?

답: 저희가 이번 검사에 사용한 방법은 사람에게 유행하고 있는 계절 인플루엔자인 Hih3방법을 사용했다. h3 hi 에는 음성임을 확인했다. 현시점에서 가용한 메트릭스 엠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했다. 확인된 염기서열이 azofflvh 캘리포니아 바이러스와 가까운 연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화시험을 위해 검체 체취과정에서 먼저번것과 두번째에서 동일한 것으로 확인했다. 향후에는 확인검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바이러스 분리 검사는 현재 진행중이다. 미국 cdc 권고 리얼타임 pcr을 적용할 예정이다. 회복후 중화검체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미국 cdc등 협력센터 와의 공조를 통해 협력을 유지할 예정이다.

질: 같은 비행기 승객 확인은 어떻게?

답: 같은 비행기에 탄 승객은 315명이다.비행기 앞 쪽에 탔다. 이 비행기 승무원과 앞뒤 옆 6피트 총 8명 정도의 승객을 추적 확인하고 있다. 거이 분들은 직접 만나서 질환여부를 확인하고 약을 투여할 예정. 여승무원에 대해서는 잠복기를 고려한 추적을 계속할 것. 나머지 승객에 검체 검사 하지 않고 예방화학적인 차원에서 투여하기로 자문회의에서 원칙을 정했다. 현재 국내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바이러스 배양이다. 바이러스의 정체를 비교하고 회복기와 급성기 혈청 비교하는 방법도 할 것. RT-PCR이라는 방법도 있는데 진단시약을 개발해야 한다. 미국에 요청했지만 현재는 진단하기 쉽지 않다. 현재 방법으로는 확진에 2주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

질: 이 바이러스가 국내에 상륙한 것으로 보나?

답: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유전자를 보통 대상으로 한다. HA유전자 염기서열을 확보하지 못했따. 우리가 확보한 건 M GENE 유전자이므로 이를 근거로 분석했다. 지금 근거로 HA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약을 주문하고 기다리고 있다. 2주 정도 걸릴 것 같다.지금 동남아에서는 CDC에 검사를 의뢰하지만 우리는 검사를 못해서 의뢰하는 게 아니라 재확인을 위해서 보내는 것이다. 환자가 발생한 후 바이러스가 변이되서 타미플루에 내성을 획득하면 그게 가장 위험하다. 가장 중요한 건 백신개발과 예방이다. 이를 위해 CDC에 보내는 것이다.

질:환자상태는?
답:인플루엔자의 전형적인 상태. 초창기 발열 콧물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상태. 지금 격리상태는 자문회의에서 이 바이러스의 위중도와 전파속도를 볼 때 증상이 심하지 않은 이를 격리할 필요가 있겠냐는 토론이 있었다. 전체 향후 환자 분포 상태가 어찌될지 모른 상황에서 자택격리만은 위험. 일단 격리병원에서 임상상황을 관찰하면서 추후 발생 상황을 관찰하고 있다.

질:타미플루 효과있는 건가?

답: 어저께 1차 투여했다. 타미플루는 보통 하루 정도면 열이 떨어지는 것으로 본다. 지금 아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기는 하지만 처음 보는 질환이라 판단은 조심스럽다. 미국은 약을 투여하지 않고도 나은 것으로 봐서 그렇다. 멕시코와 미국 차이의 이유를 모르고 있다.

질: 격리는 언제까지?
답: 환자 상태에 따라 증상이 사라지고 난 후 7일까지는 격리를 하려고 예정 중이다.

질:의심환자나 동행 비행기 승객 등이 완전히 문제없다고 판단하려면 얼마나 걸리나?

답:현지 운전사가 있어서 감염원 의심. 현지에서 확인 요청했다. 지금은 몸살기운 없다는데 정밀 진단 권유했다. 들어올 당시 갔이있던 사람들 26일이므로 5월 2일까지는 추가 환자 발생여부를 관찰해야 될 것으로 본다. 사스와 비교하면 사스보다는 발병속도는 빠른 것 같다. 다만 위중도는 떨어진 것 같다는게 일반적인 판단이다.

질:2차 감염은 없나?

답:속도와의 싸움이다. 한사람이 세사람 정도에게 전염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차적으로 증상여부를 확인하고 근처에 있는 환자 찾아가서 약을 투여하고 하면 대부분 막아질 것으로 본다. 다른 나라 사례를 보면 미국 텍사스에서 부부간에 생긴 2차 감염이 한 건 있었다.현재 다들 경험이 많지 않아서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

김은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