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외채 1천5백30달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외국인이 요구할 경우 한국 정부와 금융기관.기업이 갚아야 할 실제 외채규모 (총대외지불부담) 는 지난 20일 현재 1천5백3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환율로 환산하면 국민 1인당 5백38만원씩 외국에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이 가운데 만기 1년 미만의 단기부채는 전체의 52.4%에 달하는 8백2억달러로 조사됐다.

또 이를 차입기관별로 보면 ▶금융기관 9백88억달러 (65%) ▶기업 4백32억달러 (28%) ▶공공부문 1백10억달러 (7%) 등으로 나타났다.

재정경제원은 30일 IMF와의 합의에 따라 앞으로 외채통계를 종전 세계은행 (IBRD) 방식에서 IMF 방식으로 수정.집계해 발표키로 했다고 밝혔다.

IMF방식으로 집계할 경우 종전 외채규모에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지점 현지 차입금 ▶역외 차입금을 더해야 한다.

예컨대 IBRD 방식으로 집계할 경우 지난 11월말 현재 외채는 1천1백61억달러지만 IMF 방식에 따를 경우 1천5백69억달러로 4백7억달러가 많아진다.

불어난 4백7억달러를 나눠보면 ▶국내 금융기관 해외지점이 현지에서 빌려 운용하고 있는 빚이 1백98억달러 ▶국내 금융기관이 역외금융으로 빌린 돈이 2백9억달러 등이다.

재경원 정덕구 (鄭德龜) 제2차관보는 "국내 금융기관 해외지점이 외국에서 빌린 돈이나 역외 차입금 등은 외채 통계에서 빼는게 국제관례지만 정부가 국내 금융기관의 모든 빚을 보증하겠다고 공표했기 때문에 앞으로 외채통계에는 이를 포함시키기로 했다" 고 밝혔다.

鄭차관보는 그러나 "국내 기업 해외지점이나 현지법인이 외국에서 빌린 돈과 국내 금융기관 해외지점이 받은 예금 등은 한국 정부가 지급보증을 한 빚이 아니기 때문에 외채통계에서 제외키로 IMF와 합의했다" 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국내 금융기관 본점이 빌린 돈을 해외지점에 다시 빌려 줄 경우 외채가 2중 계산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외채통계에서 빠진다" 고 덧붙였다.

鄭차관보는 "한때 국제금융가에서 한국의 실제 외채규모가 2천4백억달러에 달한다는 소문이 나돈 것은 중복 계산된 부분과 국내 기업의 현지금융 등이 포함됐기 때문" 이라며 "앞으로 IMF방식에 따라 외채통계를 발표키로 해 이런 오해가 불식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강조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