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국제도시 → 아파트 도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동북아 허브 경제특구’를 내건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휘청대고 있다. 국제 금융위기 여파로 주요 사업에 대한 투자자들이 떠나거나 금융권의 대출 창구가 막혀 버렸기 때문이다. 송도가 자칫 ‘아파트 신도시’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제도시의 국제업무단지 모습. 오른쪽 우뚝 솟은 건물은 포스코건설이 지은 주상복합빌딩. [중앙포토]


송도 국제업무지구의 대표적 오피스 빌딩인 동북아트레이드타워(NEATT)는 사업비 부족으로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65층의 이 빌딩은 33층까지는 사무실로, 그 위는 호텔로 구성돼 송도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들을 끌어들일 계획이었다. 2006년 7월 착공돼 현재 5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 3월 완공 예정이다.

5000억원의 사업비는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1억5000만 달러를, 나머지는 우리·국민 등 국내 은행이 대출을 해 주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1700만 달러를 투자한 모건스탠리는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이 사업에서 발을 뺀 상태며 투자원금을 돌려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600억원을 대출해 준 국내 은행들도 자금 지원을 중단한 상태다. 외국 기업 유치가 거의 없는 등 사업 전망이 밝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시행사인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는 동북아타워의 용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 오피스·호텔 외에 아파트와 콘도미니엄을 추가하면 일반 분양을 통해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기공식을 가진 151층짜리 쌍둥이 빌딩 ‘인천타워’도 사업비 조달이 막혀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높이 601m, 연면적 52만㎡ 규모로 계획된 인천타워는 오피스·아파트·호텔 등을 갖춘 송도국제도시 랜드마크 건물이다. 사업비가 3조원이지만 아직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은행단도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시행사(송도랜드마크시티)의 자본금으로 6월 파일공사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첫 국제학교로 기대를 모았던 송도국제학교는 학교 건물은 완공됐으나 개교가 불투명한 상태다. 외국인 학생이 부족해 천문학적인 운영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워서다. 또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추진해 왔던 77층짜리 쌍둥이 빌딩 월드트레이드센터(WTC)는 투자자 모집이 안 돼 최근 사업이 무산됐다.


인천=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