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간첩사건]정치권 긴장(16)…대선에 큰 영향 없을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대규모 간첩단사건에 정치권은 긴장하는 모습이다.

각 당은 20일 사건이 대선에 미칠 영향을 계산하기에 분주했다.

특히 고영복 (高永復) 서울대 명예교수가 36년간이나 암약하는 과정에서 정치권과 이런저런 접촉이 있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자에 대한 후속 수사를 주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세후보 진영의 반응은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신한국당은 파문의 확대를 바라는듯 하다.

이사철 (李思哲) 대변인은 "신한국당 고위당직자회의에서 高교수가 사회 각 계층및 정치권 인사들과 깊은 관계를 맺었을 것으로 보고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고 발표했다.

국민회의는 이처럼 신한국당이 날린 화살을 슬며시 정부에 넘겼다.

정동영 (鄭東泳) 대변인은 "高교수는 각종 정부 관계기관의 자문위원으로 정부정책에 깊숙이 관여해왔다" 며 "이 정도로 우리 안보망이 허술한가 걱정된다" 고 개탄했다.

鄭대변인은 "엄중한 분단현실에 대한 경각심 고취가 있어야 한다" 고 강조하는 원론적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

국민신당은 가장 적극적으로 사건에 접근하고 있다.

신임 김충근 (金忠根) 대변인은 "북한의 지하철 마비 시도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고 운을 뗀 뒤 바로 후보자격론으로 연결시켰다.

그는 "국운이 풍전등화같던 전쟁통에 병역을 기피한 사람과 자신의 아들은 물론 친척까지 군대보내기를 꺼리는 후보가 어찌 60만 장병을 통솔하겠는가" 라고 되물으며 '애국심' 이 선택의 기준이 돼야 함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같은 각 당의 우려나 기대에도 불구하고 대선 승부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파장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

무엇보다 정부가 이번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할 생각이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김교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