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원, 한국경제 왜곡·과장보도 계속되면 법적대응 불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유명 해외언론들이 최근의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한 과장 보도를 하는 바람에 외국인 투자가들의 자금회수사태를 초래하고, 이것이 다시 위기를 확대재생산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지난 8일 3개 신문.통신사에 반박문을 보내거나 항의한데 이어 앞으로 법적 대응등도 불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반박서한 전달 = 정부는 한국 경제의 현실을 왜곡 보도한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등 3개 해외 언론사에 반박서한을 전달했다.

재경원은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 보낸 서한에서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가 1백50억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보도는 근거없는 것" 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은 외환보유고가 지난달말 현재 3백5억달러라고 공식발표했다.

재경원은 또 국제통화기금 (IMF)에 긴급자금을 요청할지도 모른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긴급자금 요청을 검토한 바 없다" 고 밝혔다.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과 월스트리트 저널에 대해서도 정부는 "올해말까지 11개 은행중 9개 은행이 파산할 것이라는 추정은 근거가 없는 것" 이라고 항의했다.

한은이 환율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고를 20억~2백억달러 썼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추정치" 라며 "한은의 선물환시장 개입규모는 시중에서 예단하는 규모보다 훨씬 작다" 고 밝혔다.

정부는 해외 언론이 무책임한 왜곡.추정보도를 계속할 경우 반박 서한에 그치지 않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밝히고 있다.

◇ 해외 언론의 주요 보도 내용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 (5일자) =한국 정부는 3백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다고 발표했으나 최근 외환위기로 인해 이미 20억~2백억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5일자) =서울발로 한국은 곧 태국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처럼 심각한 금융위기에 봉착할 것이다.

한국도 태국과 인도네시아처럼 IMF의 긴급구제금융을 받을지도 모른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 블룸버그 통신을 전재해 6일자 1면 머리기사로 보도.

▶독일 DPA통신 (6일 싱가포르발 기사) =싱가포르의 외환딜러등을 인터뷰해 "한국의 원화는 IMF의 대기실에서 기다리고 있는 다음번 환자" 라고 보도했다.

▶블룸버그 (7일) =한국의 외채는 모두 1천1백억달러며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단기부채가 8백억달러나 된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월말 현재 외환보유고가 3백5억달러라고 공식발표했으나 실제 외환보유고는 1백50억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 (8일자) =서울발로 '한국은 동아시아 기적의 나라에서 위기지역으로 : 높은 부채, 넉넉지 않은 외화' 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 (미국.8일자) =아시아 경제위기를 다루면서 한국에 대해서는 별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던 워싱턴 포스트는 이날 경제섹션 톱 기사로 "아시아 시장의 혼란이 한국을 덮치다" 는 제목 아래 한국의 증시.환율 상황을 전했다.

◇ 해외 언론보도 과정 = 해외 언론사 한국 특파원들의 취재원은 주로 국내신문의 보도내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자국 회사파견직원들의 의견을 참고하고 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같은 경우는 블룸버그통신 서울발 기사를 그대로 전재한 것이다.

고현곤·윤석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