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익 8% 후순위채 … 장단점 꼼꼼히 살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공기업 간부인 김승옥(52)씨가 가장 선호하는 재테크 수단은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후순위채다.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은 데다 1개월 또는 3개월마다 이자를 주기 때문에 연금처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두 차례에 걸쳐 은행이 발행하는 후순위채를 샀던 김씨는 또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26, 27일 이틀간 동양종합금융증권과 HMC투자증권에서 판매하는 현대커머셜의 후순위채다. 2007년 3월 현대캐피탈에서 분사해 상용차 할부금융을 담당하는 현대커머셜이 300억원 규모로 발행하는 이번 후순위채는 연 8%의 이자를 매달 지급한다. 1억원을 투자하면 매월 66만6000원(세전)을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의 1년짜리 ‘파워맞춤정기예금’의 금리가 연 3.4%인 점을 감안하면 금리가 두 배가량 높은 셈이다. 청약은 최저 1000만원부터 100만원 단위로 할 수 있다.

후한 금리 뒤에는 단점도 있다. 발행 회사가 파산하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경우가 그렇다. 후순위채권은 상환 순위가 뒤로 처지기 때문에 발행 회사가 파산한다면 투자금을 날릴 확률이 높다. 따라서 투자하기 전 회사가 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게 우선이다. 현대커머셜의 전오성 재경팀장은 “우리 회사는 현대자동차 그룹 소속으로,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가 전체 지분의 70%를 보유하고 있어 파산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후순위채권 발행사를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한 뒤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투자금을 날리게 된다. 후순위채권은 계약 이전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다만 발행 금융회사가 다른 회사에 인수합병(M&A)될 경우엔 후순위채권의 권리는 그대로 남는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