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재용선 관행 복잡해 건전성 파악 시간 걸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당초 5월 초까지로 예정됐던 대형 해운사 신용위험평가 조사가 다음달 중으로 조금 일러지고, 4월로 예정됐던 정부의 ‘해운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도 이달 중 나올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170여 개의 해운사 중 금융권 대출이 500억원이 넘는 38개 해운사에 대한 신용위험평가가 진행 중이다. 평가 결과에 따라서는 워크아웃에 들어가거나 퇴출되는 회사가 나올 전망이다. 나머지 중소 해운사에 대한 평가는 6월 중 완료될 예정이다.

해운업계는 글로벌 물동량이 점차 줄고 있는 데다, 구조조정을 한다는 이유로 해외 화주들이 한국 업체에 주문을 하지 않고 있다고 호소한다. 따라서 조속한 구조조정과 지원방안을 요청하고 있다. 한국선주협회의 양홍근 이사는 “해운업 특성상 외국 회사들과 거래가 많은데, 한국 기업들이 구조조정 중이라며 일부에서는 일감을 주지 않기도 한다”며 “경영이 양호한 업체들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운업 구조조정이 더딘 데에는 업종 특수상황이 있다. 최근 수년간 호황을 누리면서 자사 소유의 배로 직접 화물을 운송하는 본업보다, 빌린 배를 웃돈을 받고 다시 빌려주는 재용선을 주업으로 삼는 업체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통 4~5단계, 극단적인 경우 10단계에 이르는 복잡한 계약 때문에 해운사들의 건전성을 파악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현재 무등록 해운업체의 재용선 행위를 조사하는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19일 “민간 회사의 용선 계약을 무조건 제한할 수는 없지만 투기적인 관행이 줄어들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운업 업황의 본격적인 회복은 아직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임종관 박사는 “최근 세계 물동량이 바닥을 치고 다소 늘고는 있지만 당장 시장 상황이 개선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프로그램 준비 중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