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본사, 한국씨티은행 팔지 않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하영구(사진) 한국씨티은행장은 1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국 본사가 한국씨티은행을 매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가 일부에서 제기된 매각설에 대한 답변이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해 실적 발표를 위해 마련됐지만 하 행장은 미국 씨티그룹 본사의 상황을 설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최근에는 본사의 주가가 1달러대에서 3달러대로 올랐고 1~2월의 실적도 좋아졌다”며 “미국 정부가 기존에 갖고 있던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면서 자본건전성(보통주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경쟁사보다 좋아졌다”고 말했다. 하 행장은 “씨티그룹 주주들이 원하는 것은 실적 개선을 통해 이익을 내고 주가가 오르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성장성이 큰 한국 사업을 매각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미 자본 확충이 충분히 이뤄졌는데 여기서 돈을 버는 사업 부문을 팔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실적도 공개했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259억원으로 전년보다 9% 감소했다. 경기 침체에 따른 부실 증가에 대비해 쌓는 대손충당금이 늘어났고, 희망퇴직에 따른 비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 행장은 “희망퇴직처럼 한번 나가는 비용을 뺀다면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보다 소폭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씨티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2.71%, 후순위채를 제외한 기본자본비율(Tier1)은 10.57%로 집계됐다. 자본 건전성뿐 아니라 자산 건전성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하 행장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에 대한 대출이 하나도 없다”며 “조선사에 대한 대출금도 490억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정부가 조성하는 자본확충펀드를 신청할 계획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하 행장은 “금융권 전체가 무척 어려웠던 지난해 말에도 본사에서 8억 달러를 지원받아 BIS 비율을 높였다”며 “언제든지 본사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시점에선 우리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것이 국가에 더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