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PD연합 방송법 여론조사 편파적 설문으로 반대 유도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야당과 진보 시민단체 등 미디어법 개정에 반대하는 진영에선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 60% 이상이 방송법 개정을 반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올 초부터 학계와 조사업계에선 “설문 문항이 편파적으로 작성돼 반대는 늘리고 찬성은 줄이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우선 지난해 12월 진행된 미디어오늘·기자협회·PD연합회-한길리서치 여론조사에선 ‘조선·중앙·동아 등 신문이’ ‘KBS·MBC 같은 방송사를 소유하고 방송뉴스까지 하는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랬더니 반대 입장을 표명한 비율이 63.1%로 나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질문 문항은 기본적으로 반대를 이끌어내기 위해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정적 단어를 질문에 포함시키거나 사실 자체를 왜곡해 나쁜 인식을 조장하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실제 이번 방송법 개정안은 KBS의 구조 개편과 관계가 없다. 한나라당은 MBC 역시 인위적 구조 개편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설문은 MBC와 KBS가 신문사, 그것도 메이저 신문사에 의해 장악되는 것처럼 규정했다. 김규철 글로벌리서치 이사는 “조사기관의 객관적 판단보다 조사 의뢰자의 주관적 시각이 더 중요하게 고려됐다는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MBC와 코리아리서치가 같은 달 실시한 여론조사 문항 역시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 진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의 경우 답변 내용이 왜곡돼 있다는 것이다. 즉 질문은 ‘대기업과 대형 신문사’로 해 놓고 답에선 일반 국민에게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은 단어인 ‘재벌과 권력’으로 규정지어 반대 답변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그래픽 참조>


김규철 이사는 “결과적으로 법 개정 내용을 잘 모르는 국민들이 정서적으로 반대하게끔 유도한 셈”이라고 말했다.

신창운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