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지난 대선 정국의 향방 "이젠 정책 대결" 준비 부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추석후 대선정국은 정책대결 양상으로 전개될 듯하다.

'5자구도' 의 후발주자인 조순 (趙淳) 민주당총재.이인제 (李仁濟) 경기지사가 자금.조직의 열세를 정책차별화로 메우려하고 있으며 이회창 (李會昌) 신한국당 대표도 발목잡는 '신상문제' 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획기적인 정책제시에 많은 공을 들일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김대중 (金大中) 국민회의총재는 '준비된 대통령' 의 이미지 창출을 위해, 김종필 (金鍾泌) 자민련총재는 경제와 안보문제를 직접 다뤄본 '경륜있는 지도자' 상을 강조하기 위해 각기 정책준비에 한창이다.

정책색깔을 뚜렷하게 비교할 수 있는 자리는 당장 22일 있을 중앙일보 주최의 후보초청 강연회다.

이어질 각종 방송 토론회등은 정책부분에 대한 질문에 많은 비중을 둔다는 방침이어서 정책대결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후보들의 공통 관심사는 경제회생 대책. 신한국당 李대표의 일관된 주장은 경제규제 철폐다.

그의 '자율철학' 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한 측근은 17일 "규제개혁을 구조개혁 차원에서 추진하는 경제개혁안을 준비하고 있다" 고 말했다.

현정부가 업적으로 자랑하는 실명제 보완책을 조만간 내놓고 19일엔 교육정책을 발표한다.

국민회의 金총재는 추석연휴 마지막날인 이날 서울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간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이젠 선거국면을 정책대결로 유도해야 한다" 는 결론을 내렸다.

캐치프레이즈는 '안정속 번영' 과 '세계5강 진입을 위한 기반조성' 등 두가지. 특히 시장원리를 철저히 적용하는 경제구조조정을 강조한다.

다음주부터는 金총재가 매주 경제문제 간담회를 열면서 그때그때 현안 타개책을 제시한다는 계획. 자민련의 金총재는 2000년대초 소득 3만달러와 북한의 개혁.개방유도를 공약의 두 축으로 삼고 있다.

실명제 폐지를 전격 주장한 그는 행정3단계의 2단계 축소등과 같은 개혁공약을 제시할 방침. 민주당의 趙총재는 정책기능을 특보단.제자그룹에 맡겼다.

경제학자.경제부총리.한은총재 출신다운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부각한다는 전략. 李경기지사도 이날 대선전략회의를 주재하면서 "돈과 조직이 없는 우리로서는 정책차별화에 승부를 걸 수밖에 없다" 고 강조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