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빼려면 다이어트 식단보다 칼로리 감소가 중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날씬해지고 싶은가? 몸무게를 줄이고 싶은가? 그렇다면 적게 먹어야 한다. ‘황제 다이어트’‘계란 다이어트’‘원푸드 다이어트’‘덴마크 다이어트’등 별별 다이어트 식단이 많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음식의 종류가 아니라 절대량이라는 것이다.

하버드대 보건대 심장병 예방학 교수 프랭크 색스 박사가 최근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등 어떤 영양 성분으로 된 음식을 먹든 간에 칼로리를 적게 섭취해야 날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중에 어떤 것을 먹어야 하는지보다 어떻게 하면 칼로리를 줄이는데 다이어트 식단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색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보스턴 등지에서 과체중 증세가 있는 811명을 모아 2년에 걸쳐 실험한 결과다. 이 가운데 40%는 남성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다음 네 가지 다이어트 식단 중 하나를 고르게 했다.
①저지방 다이어트=지방 20%, 단백질 15%, 탄수화물 65%
②고단백 다이어트=지방 20%, 단백질 25%, 탄수화물 45%
③고지방 다이어트=지방 40%, 단백질 15%, 탄수화물 45%
④고지방, 고단백 다이어트=지방 40%, 단백질 25%, 탄수화물 35%

포화지방은 하루 칼로리 섭취량의 8%를 넘지 못하도록 했고 매일 섬유질 식품을 20g 이상 먹도록 했다. 하루 운동량은 매주 90분으로 정했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정확한 칼로리 섭취량을 지키도록 했고 2년이 지난 후 80%가 정해진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무사히 마쳤다.

6개월 후 다이어트 참가자들은 평균 5.9㎏를 감량했다. 2년 후엔 다시 평균 3㎏가 빠졌다. 2년만에 8.9㎏를 감량한 것이다. 참가자들은 대체로 다이어트 방법에 만족감을 표했다.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 등 건강 상태는 ①~④ 그룹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색스 교수는“전체적으로 볼 때 특별히 효과적인 다이어트 식단은 없었다”며 “체중 감소는 결국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는 식단을 얼마나 적게 먹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암스테르담 VU대 식품영양학과 마틴 카탄 교수는 “운동을 많이 하면서 고칼로리 음식을 먹으면 효과가 없는 게 사실이지만 다이어트 식단에 따라 체중 감소의 효과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며 이견을 나타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