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TV토론 외국선 이렇게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외국에서도 대통령 후보간의 TV토론은 형식과 내용이 아직 완전히 정착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미국과 프랑스의 TV토론은 유력한 여야 후보가 동시에 출연해 질문자들과 질의.답변및 반박을 주고받는, 말그대로 '실전' 으로 진행되며 공정성 보장과 유권자의 판단을 돕기 위해 질문내용.중계방식.질문자 선정등에 대해 치밀한 사전 준비가 이뤄진다.

◇ 미국 = 60년 민주당의 존 F 케네디 후보와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 후보가 실시한 이래 미 대통령 선거의 주요한 절차로 자리잡았다.

토론회의 주관자는 처음엔 전미 라디오.텔리비전위원회가 담당했으나 미연방 통신법에 따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미 여성유권자연맹으로 바뀌었고 이후 87년 대통령토론위원회 (CPD)가 만들어져 TV토론을 주관하고 있다.

CPD는 민주.공화 양당의 추천자들 외에 비정치권의 중립적 인사들을 포함해 중립성.공정성을 제고한다.

CPD는 토론에 앞서 사회자외 패널리스트 선정은 물론 시간과 토론횟수, 발언순서 길이, 질의 형식및 답변 순서등 토론 절차 전반에 걸쳐 시시콜콜한 내용까지 일일이 협의해 결정한다.

특히 패널리스트 선정시 후보자측에서 합의하지 못하는 인물은 배제된다.

이때문에 지난 84년엔 1백여명의 후보 패널리스트중 양당이 동의한 숫자가 3명에 불과해 3명의 패널리스트만으로 진행되기도 했다.

또 패널리스트들이 국민의 관심사를 대변하기보다 공명심을 높이기 위해 돌출적인 내용을 질문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 패널리스트들은 가능한 한 언론인으로 제한하는 것이 전통이다.

다만 92년부터 도입된 '마을 집회' 형식의 토론에서 일반 유권자들이 직접 후보들에게 질문을 던지거나 사회자 혼자 질문을 취합, 대신 질문하는 형식등도 병행된다.

CPD는 미도서관협회.전국 방송국협회.여성유권자연맹등 13개 민간단체와 연계, TV토론의 질과 효율성및 공정성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 프랑스 = 미국과 마찬가지로 프랑스에서도 대선후보간 토론은 선거의 필수 절차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프랑스의 TV대선 토론은 지난 81년 미테랑이 내건 공정성 보장을 위한 원칙에 따라 상세한 규정에 맞춰져 진행된다.

토론은 유력 후보 2인을 출석시킨 가운데 총 2시간10분에 걸쳐 실시된다.

토론은 40분씩 세파트로 나눠 국내정치.경제사회.국제를 다루게 되고 나머지 10분은 각 후보가 5분씩 종료연설을 하도록 하고 있다.

질문은 언론인들이 동일 주제에 대해 묻고 후보들이 답변하고 난 뒤 후보끼리 답변내용을 중심으로 직접 토론을 벌이는 형식이다.

이에 반해 독일.영국은 의원내각제의 특성상 후보간 공식토론이 없고 각 후보들이 방송사들이 주최하거나 방송사가 중계하는 유권자토론회에 참여, 자신의 정강정책을 홍보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국제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