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구성 '원점'…예결위, 상임위 전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17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여야는 4일 수석원내부대표 회담을 열고 또다시 조율에 나섰으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국회 예산결산특위의 일반 상임위 전환 문제가 핵심 쟁점이다.

한나라당은 예결특위를 독립 상임위로 하는 것은 국회 개혁의 최대 과제라며 샅바를 틀어쥐고 있다. 남경필 수석원내부대표는 "국민의 예산 주권을 찾는 차원에서 결코 미룰 수 없는 국회 개혁의 최대 과제"라며 "이번 주말에 양당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TV 토론을 하자"고 열린우리당 측에 제안했다.

반면 열린우리당 이종걸 수석원내부대표는 "예결위를 상임위로 하려면 국회법을 고쳐야 하는 등 예산심의제도 전반을 바꾸는 중대한 문제"라면 "개원 뒤 국회개혁특위 차원에서 심도있게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부의장 및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이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교섭단체를 구성한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한명씩 나눠 맡자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16대 국회 원 구성 전례에 따라 국회의장을 맡게 될 열린우리당은 국회부의장을 맡지 말아야 한다고 맞선다.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4일 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단대표에게 "국회부의장 1석과 상임위원장 일부를 비교섭단체에 배려키로 했다"면서 "열린우리당의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5일 국회의장단 선출 때 한나라당 몫 외에 부의장 한명을 뽑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은 5일 국회의장단 선출 때 의장과 부의장 두명의 선출을 강행할 방침이어서 파행이 예상된다.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도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7일로 계획됐던 상임위원장 선출은 일주일 이상 늦어질 전망이다.

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