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터운 모피 속 속 비치는 드레스 - 97 추동 SFAA 컬렉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극과 극은 통한다'.요즘 패션계의 흐름을 단적으로 묘사한 말이다.속살 비치는 망사와 북슬북슬한 인조털을 한데 섞어놓은 드레스,격식을 깍듯이 갖춘 정장밖으로 속옷이 삐죽 드러난 차림,알록달록 봄색깔이 총동원된 겨울옷들….한가지 옷차림 속에서 소재.색상.디자인의 양 극단을 넘나드는 기기묘묘한 결합이 시도된다.

올해 가을.겨울의 패션경향을 미리 엿보게 해주는 최근의 97추동 서울패션아티스트협의회(SFAA) 컬렉션 무대에도 이런'상식파괴'흐름이 뚜렷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은 닥쳐올 추위에도 아랑곳 없이 기세를 떨치는 시스루 룩(See-through Look).두터운 재킷과 코트 속엔 어김없이 맨살이 훤히 드러나는 망사.레이스 소재의 셔츠와 탑이 등장했다.하지만 디자이너들 역시 찬바람 도는 계절과 시스루 룩 사이의 부조화를 의식한듯 비치는 옷 군데군데에 인조털이나 톡톡한 재질의 벨벳장식을 덧붙여 완충효과를 노렸다.한편 몸에 꼭 끼는 가늘고 긴 실루엣으로 관능적인 여성미를 드러내려는 최근의 유행은 가을.겨울에도 여전히 유효할듯 하다.디자이너마다 앞다퉈 선보인 아이템인 엉덩이를 약간 덮는 튜닉형 상의와 바지,무릎길이까지 내려오는 코트형 롱재킷과 바지정장,가슴을 깊이 판 칠부소매 원버튼 재킷(단추 하나로 여밈한 재킷)과 슬릿스커트는 한결같이 신체에 가까이 밀착돼 있다.

또한가지 이번 컬렉션에서 눈에 띈 것은 앞서 열렸던 해외 컬렉션들과 마찬가지로 모피가 화려하게'컴백'한 점.고급스런 외양을 추구하는 여성들의 현시욕이 과연 환경보호의 거센 물결을 거부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신예리 기자

<사진설명>

비치는 시퐁드레스에 모피 장식을 덧댄 송지오씨 작품. 오동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