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통신 음란물 추방 감시 자원봉사대 발족-네티즌이 직접 감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심각한 지경에 이른 PC통신및 인터넷 음란물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시민과 사회단체.통신회사등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가상공간의 음란물 범람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각되면서 이를 해결할 대안이 세계적으로 모색되는 추세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위원장 孫鳳鎬)가 지난달 29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정보통신 윤리캠페인'행사를 가진 것도 온라인 음란정보 추방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이다. 〈본지 4월30일자 27면 보도〉 정보통신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전개될 통신윤리확립운동은▶언론기관및 이용자단체등을 통한 음란정보추방캠페인▶주부.교사및 학생등을 대상으로 한 윤리교육과 홍보활동으로 이뤄진다.

이중에서도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PC통신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음란물 모니터링 자원봉사 활동. 윤리위는“불건전한 통신이 특히 청소년의 정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수준에 달했다”면서“가상공간의 음란물 퇴치에 위력을 발휘하는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컴퓨터의 음란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SW)이 하반기중 정보통신윤리위원회와 한국전산원의 홈페이지.PC통신망의 공개자료실등을 통해 무료 배포된다.이 사업은 한국전산원(원장 李哲洙)이 맡는다.

孫위원장은 “2년전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설립될 때'시기상조다''왜 남의 일에 간섭하느냐'등 일부 이용자들의 반발여론이 있었으나 이제 누구나 그 존재가치를 인정할 만큼 음란물 유통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孫위원장은“통신문화가 깨끗해지면 정보통신윤리위 같은 단체가 있을 필요가 없다”며“하루 속히 해체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은 지난해 성(性)관련 사이트 1천여개 가운데 53%가 포르노일 정도의 위험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국내 PC통신에서도 지난해 음란물 게시및 매매.교환 건수가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만도 5천건에 달해 온라인 정보의 오염이 심각한 지경에 이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중구 기자

<사진설명>

PC통신및 인터넷 모니터링 활동을 벌일 자원봉사대가 지난달 2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결성식을 가졌다. <박순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