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헌당규개정委 본격출범 - 경선정국에 돌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신한국당의 대통령후보 경선규정을 만드는 당헌당규개정위원회(위원장 李世基)가 1일 첫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위원은 강재섭(姜在涉).목요상(睦堯相).박세직(朴世直).박종웅(朴鍾雄).김기수(金基洙).김기춘(金淇春).유용태(劉容泰).전석홍(全錫洪).김영선(金映宣)의원과 민태구(閔泰求).백용호(白容鎬).심재철(沈在哲)원외위원장이다.

개정위 발족은 한보정국에 발목이 잡혀있던 당이 사실상 경선정국에 돌입했음을 의미한다.92년 대선자금이란 늪이 도사리고 있어 당장 당내 행사에 전념할 처지는 못되지만 어쨌든 3개월여가 걸릴 마라톤을 시작한 것은 분명하다. 개정위는 경선이라는 뜨거운 전쟁의'싸움방식'을 정하는게 주어진 임무다.

가장 예민한 부분은 투표에 참가할 대의원수.후보등록요건.선거운동방법.부정행위방지.선출방식등. 이런 항목마다엔 주자들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려 있다.당은 이를 의식해 개정위에 특정주자와 관계가 짙은 인사는 배제했다.특히 李위원장은 중립적 위치를 고수해온 대표적 중진이다.

당은 주로 개정위원들의 난상토론을 통해 여러 아이디어를 걸러 합의안을 도출한다는 방침이다.한 당직자는“당의 기초안은 있지만 원칙은 백지에 다시 그린다는 것”이라며“합리적인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5천명선으로 돼 있는 대의원수는 1만명정도로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어떤 주자는 3만5천명을 내세우는등 대부분의 주자들은 대의원수를 늘리자고 주장한다.

실무 관계자는“1만명을 넘을 경우엔 수용장소를 찾기 어렵고 투표관리도 힘들다”고 했다.

그는 “1만명정도면 위원장의 입김이 줄어들고 말 그대로 당심(黨心.대의원의 판단)이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1만명이 되면 지구당별로 뽑는 대의원이 7명에서 30명 가까이로 늘어나게 된다.

후보등록요건은 현재 최소한 8개 시.도에서 대의원 50명씩의 추천을 받도록 돼 있다.이럴 경우 현실적으로 2명정도밖에 출마할 수 없어 요건을 대폭 완화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선출방식에 있어선 이인제(李仁濟)지사등이 권역별투표제같은 것을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