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원 9명중 8명 민주계 - 정치인소환 중간점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검찰이 16일까지'정태수(鄭泰守)리스트'에 오른 정치인 33명중 절반이 넘는 19명을 소환.조사함으로써 정치인 수사가 막바지를 향해 치닫고 있다.

그동안 검찰에 불려온 현역 의원들은 신한국당이 9명으로 가장 많고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각각 2명,민주당 1명이다.또 단체장 6명이 포함돼 있다.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이 문정수(文正秀)부산시장과 김정수(金正秀).노기태(盧基太).하순봉(河舜鳳).박종웅(朴鍾雄).나오연(羅午淵)의원등 6명으로 가장 많고 당진제철소가 있는 충남지역이 김용환(金龍煥)의원과 박희부(朴熙富)전의원,김한

곤(金漢坤)전충남지사등 3명으로 뒤를 잇고 있다.

특히 민주계는 대선주자로 꼽히던 김덕룡(金德龍)의원을 비롯,8명이나 포함돼 鄭총회장의 로비가 여권 실세에 집중됐음을 보여준다.

또 국민회의 김상현(金相賢)지도위의장이나 자민련 김용환사무총장,민주당 전국구 1번인 이중재(李重載)의원이 포함된 것도 각 계파에 적절하게 선을 대려는 철저한 계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검찰은 33명의 정치인중 돈을 받은 시점과 경위로 볼때 뇌물적 성격이 짙은 3~4명에 대해선 사법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국정감사등을 통해 한보특혜를 거론할 수 있는 노승우(盧承禹).나오연.김정수.김상현.이중재의원등 재경위 소속 5명과,제철소 인허가 과정과 관련있는 건교.통상산업위 소속 김봉호.노기태의원,김옥천 전의원등이 1차 검토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鄭씨로부터 돈을 받은 시점이 선거 전후가 아니고 국정감사나 건교위 간사 재임시인 김상현의원과 김옥천 전의원등은 이 돈을 단순 정치자금이라고 주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서석재(徐錫宰)의원등 남은 의원들에 대한 소환조사를 빨리 마무리할 방침이지만 소환조사를 꺼리고 있는 김수한(金守漢)국회의장 조사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편 검찰이 33명의'정태수 리스트'를 발표했음에도 한보비리와 연루된 정치인이 더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정치권에 미치는 파문이 적지않은 점을 고려,현재 드러난 33명의 정치인 수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정철근.예영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