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단체 “4·19 = 데모 영상물 수거해야” 교과부 “60년대 대한뉴스 인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교육과학기술부가 전국 초·중·고교에 학습 참고용으로 배포한 현대사 영상물에 4·19 혁명이 ‘데모’로 표기되고 남북 정상회담 같은 핵심 내용이 빠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교과부는 올 10월 말 건국 60주년을 기념해 전국 초·중·고교 1만여 곳에 ‘기적의 역사’라는 영상물을 나눠줬다. KBS 아트비전과 한국정책방송(KTV)에서 1940~2000년대까지 제작한 것이다. 영상물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대한민국(10분 분량) ▶건국 60주년의 발자취(140분 분량) 두 분야가 한 묶음이다.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학생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 많은 학생이 시청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제가 된 것은 ‘건국 60주년의 발자취’ 중 4·19 혁명 부분이다. 1960년대 영상물에는 ‘4·19 데모’라는 제목의 대한뉴스가 2분간 들어 있다. ‘4·19 데모’를 클릭하면 시위모습과 함께 ‘데모진들 가두시위’ ‘시민들과 학생들의 데모’ ‘불타는 건물과 차’라는 글이 나온다.

교과부 김동원 교육과정기획과장은 “국무총리실 산하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모아놓은 자료를 활용했다”며 “‘데모’ 표현이 들어간 것도 당시 대한뉴스 용어를 그대로 인용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영상물을 수거하거나 재편집할 계획은 없다”며 “학생들이 영상물 시청 때 오해하지 않도록 안내문을 발송하겠다”고 밝혔다.

4·19 혁명 계승사업을 하는 사월혁명회는 반발했다. 이 단체의 정동익 상임의장은 “민주화 운동의 뿌리인 4·19 혁명을 가르치는 데 독재 정권의 관제 방송을 활용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영상물을 수거하거나 다시 영상물을 제작하지 않으면 4·19 혁명 관련 단체들과 공동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