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통신개방시대-국내업계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이번 협상 타결로 외국 통신업체의 주공격 대상이 된 한국통신.데이콤.한국이동통신등 국내 기간통신업체들은 그동안 대응책 마련에 부심해왔다.

한국통신 공정대책실 유태열(柳台烈.경영학박사)부장은“음성재판매의 허용으로 시외.국제전화도 도.소매 개념으로 나누어 판매하는 새로운 요금체계 도입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밝혔다.

음성 재판매업체들이 비록 한국통신의 시외.국제전화의 소매고객을 빼앗아가지만 이들도 전용회선의 도매고객인 이상 이를 위한 할인제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통신은 현재 고객이 다양한 요금옵션을 선택하는 제도를 적극 검토중이다.

데이콤 전략기획본부 정태철(鄭泰哲)부장은“외국인 지분확대로 좀더 저렴한 이자로 외국자본을 이용할 수 있어 재원조달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또 외국기업들이 소송이나 법적 대응을 제기할 것으로 내다보고 국제적 감각과 외국어가 뛰어난 직원들을 특별히 선발,해당업무를 맡도록 전문인력을 대폭 보강할 방침이다.

제2시내전화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중인 데이콤은 우리측 양허안에 동일인 지분한도 규정이 포함됨에 따라 이번주부터 민간업체와 협상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한국이동통신은 ▶외국기업과의 분쟁해결 절차문제▶선진국의 틈새서비스 진입전략에 대한 대응▶새로운 무선서비스 등장의 대비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이주형(李周炯)사업전략담당이사는“현재 통신개발연구원(KISDI)에서 진행중인 시장개방대응 전담반 관련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LG정보통신.대우통신등 국내 주요 통신장비업계는 일부 내수시장을 외국업체에 내주더라도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키로 하고 선진국에서 실용화가 늦어지는 최첨단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 이동통신용 교환기등 최첨단 기기를 주력 수출상품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한국통신과 함께 상반기중 브라질 이동전화사업 입찰에 참여할 예정으로 있는등 국내 장비업체의 해외진출이 앞으로 활발할 전망이다.

또 통신장비업체들의 서비스사업 신규진출 기회도 연내 잇따라 열린다.

정부는 통신협상 시행전 시장여력이 있는 서비스분야의 신규 사업자를 조기 선정,관련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시내및 시외전화 전국사업자▶주파수공용통신(TRS)에서 지방업체들▶무선호출 지방업체등은 오는 4월 당국에 허가신청서를 제출,상반기중 사업허가권을 받을 예정이다. 〈이민호.박방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