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본사, 경주 시내로 이전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경주시 최대의 현안인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의 경주 시내권 이전 작업이 구체화할 전망이다. 경주시의회 이진구(60) 의장이 한수원 본사의 건천권 이전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때문이다.

이 의장은 1일 열린 시의회 정례회에서 “여론과 경주의 이익면에서 볼 때 본사의 시내 이전은 당연하다”며 “이전 예정지인 양북면 장항리에는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밝혔다. 이 의장의 발언은 대의기관의 대표 자격을 갖는 데다 이전에 있었던 논의보다 보다 구체적이어서 실현 여부가 주목된다.

직원 900여 명이 근무할 한수원 본사는 2006년 12월 장항리 일대(부지 면적 15만7142㎡)로 이전이 결정됐고 규정상 2010년 7월까지 이전해야 한다.

◆“내년 1~2월까지 결론”=이 의장은 “경주의 장래를 위해 한수원 본사가 시내권으로 와야 한다”며 “내년 2월까지 이전지 재결정을 결론 내겠다”고 말했다.

그는 “장항리에는 정부가 경주에 짓기로 한 ‘방폐물 관리공단’(직원 200여 명)을 이전하고 일대에 산업단지·골프장 조성 등으로 주민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다음주 동경주(양북·양남·감포) 주민을 만나 설득하기로 했다.

대신 한수원 본사는 2010년 완공될 건천읍 화천리 KTX 경주역사 인근 66만~82만㎡(20만~25만평)에 이전, 한수원 본사 뿐만 아니라 국제회의장·원자력박물관, 청소년 교육·복지시설 등을 갖춘 ‘한수원 타운’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주민 갈등이 없도록 문제를 풀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본사 이전 차질=한수원 본사의 건천권 등 시내권 이전 요구는 지난 2년간 끊임없이 제기됐다. 백상승 경주시장, 정종복 전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는 물론 시민·상인단체가 앞장서 재검토를 요구해 왔다. 장항리 일대는 좁아 두산중공업 등 유관 기업과 기관의 이전이 어렵고 시내권과 차로 30분 거리여서 파급 효과가 떨어진다는 논리다. 이 논란 때문에 본사 이전 작업은 애초 계획보다 6개월 이상 늦어지고 있다.

그러나 장항리 주민들은 여전히 반대하고 있다. 양북면발전협의회 임병식(60) 회장은 “전 국민이 바라보는 국가 정책을 놓고 이랬다 저랬다 하니 주민들이 불안해 한다”며 “원칙대로, 정부가 약속한 대로 본사를 장항리에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북 일대 주민들은 8㎞ 떨어진 양북면 봉길리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유치가 결정된 이후 한수원 본사 유치를 위해 2006년 말 극렬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한수원 측은 “장항리 주민의 동의가 있으면 이전지를 재검토할 수 있고 본사 직원도 이전지 재론을 반기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본사이전추진실 이영진(46) 과장은 “2010년 7월까지 이전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내년 초까지 이전지 재결정 문제를 결론 내야 한다”고 말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