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관광용어도 이질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이곳 낭은 봉락이 잦아 강사 지시를 따르셔야 합니다.” “토특산인 독활주와 곰열이 건강에 아주 좋지요.” .낭'은 낭떠러지,.봉락'은 낙반사고,.강사'는 안내원을 각각 뜻한다.또.토특산'은 특산품이며.독활주'는 약술,.곰열'은 웅담.모두 북한식 관광용어다.분단 반세기동안 사회.정치 뿐만 아니라 여가문화쪽에서도 언어의 이질화가 진행됐음을 알게 해주는.북한관광용어집'이 발간됐다(한국관광공사刊.3백5쪽.비매품). 관광.레저.교통과 생활관련용어 3천5백단어를 수록한 이 책은북한의 여가문화에 대한 실상을 일부나마 전해주고 있다.다음은 여기서 발췌한 주요 용어들. ※( )안은 한국용어 또는 설명 관광.레저=관광강사(관광안내원).거님마당(산책공간).견학사업(답사).공중렬차(롤러코스터).국제려관(외국인전용관광호텔).끌낚시(릴낚시).노래춤묶음(버라이어티쇼).단과식당(전문식당).달러아가씨(기쁨조 출신으로 구성된 30세 전후의 여성들로 주로 외국인전용호텔등에서 외국바이어를 접대함).등불게임(야간경기).문화휴식(여가활동).문화휴식공원(종합휴양시설).물놀이장(수영장).물맞이칸(샤워장).물스키(수상스키).밤사교구락부(나이트클럽).복무대(호텔 프런트데스크).복무 중심(服務中心.서비스센터) 교통.시설=걸음길(인도.보도).경석(硬席.기차 일반석).경표(경고표지판).기다림값(택시 대기료).끌차(견인차).다님표(운행시각표).다발비행기(쌍발프로펠러비행기) 음식.기타=고기떡(어묵).고기마룩(고기국물).곰열(웅담).내굴제품(훈제식품).높은급선수(스타플레이어).늄밥곽(알루미늄도시락).다갈못신발(스파이크화).단설기(카스테라)〈임용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