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정보화>3.탐구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인터넷은 흔히.자원의 보고'라 불린다.이런 자원을 토대로 탐구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몇가지 재미있는 실례를 소개한다. .가상 개구리 해부 실험실'이라는 사이트가 있다.이곳은 개구리의 몸을 이루는 각 기관의 모양과 위치를 볼 수 있고,가상 실험을 통해 개구리를 해부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명령어중.피부절개'를 선택하면 껍질이 벗겨진 개구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팔.다리.머리.눈.피부.내장등을 차례로 해부한 뒤에는 거꾸로 각 기관을 하나씩 조립해 개구리를 살려낼 수도 있다. 전세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많다.이들 사이트에서는기상위성에서 수시로 촬영한 전세계의 구름사진들을 볼 수 있다.또 이를 활용해 특정 지역의 날씨를 예측할 수 있으며,자신의 예측이 맞는지 다음날 바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학 생들에게 커다란 흥미를 불러일으킬 것이다.교과서에 그려진 기상지도를 놓고 교사가 날씨 예측 방법을 단순히 설명하는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학생 스스로 수시로 바뀌는 기상정보를 그때그때 감지하게 되므로 교육효과는 그만큼 클 것 으로 기대된다. 세계지도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 세계지도에서 자신이 보고 싶은 지역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더 자세한 세부지도까지나온다.이렇게 대륙이나 국가의 세부지도까지 얻을 수 있으므로 세계 지도의 특성과 이용 방법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자연사박물관을 찾는 것도 멋진 탐구학습이 될 수 있다.영국 자연사박물관등 유명한 박물관 홈페이지에서는 행성 탐험.공룡.찰스 다윈등 자연사 전반에 걸친 방대한 자료가 수록돼 있다.또 지구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 생활이 바뀌어 가는 모습등과 같은 현실감 있고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의 우주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반면 그런 탐구심을 충족시켜줄만한 자료를 구하기는 쉽지 않았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이나 스미소니언박물관 우주항공관 홈페이지를 찾아가 보자.이곳에서는 우주 개척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우주왕복선 사진,우주탐험 역사,아폴로 우주선에 대한 소개등풍부한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다. 화산 폭발을 가상 실험으로 보여주는 사이트도 있다.이곳에는 다양한 화산 폭발 사진이 수록돼 있으며,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듯이 내용이 구성돼 있기 때문에 학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위에 제시된 예는 인터넷 전체를 두고 볼 때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앞으로도 학교정보화(IIE)와 같은 운동을 통해 교육에 적극 활용하려는 시도가 더 중요할 것이다. 이태욱<한국교원대교수.정보통신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