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를 믿으면 시각 기능도 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종교를 믿는 사람은 세상을 다르게 본다고 말한다면 좀 진부한 표현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말은 과학적으로도 맞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독교를 믿는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개신교 신자)들은 무신론자와 비교했을 때 어떤 그림에 포함된 시각적 패턴을 더 빨리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심리학과 베른하르트 홈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네덜란드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각적 인지 능력 테스트 결과다. 40명 가운데 절반은 무신론자이고 나머지 20명은 칼빈주의를 믿는 개신교 신자였다. 종교를 제외한 문화적 배경은 거의 비슷한 학생들로 구성됐다.

연구팀이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준 그림은 작은 삼각형과 사각형들로 만들어진 큰 삼각형과 사각형이었다. 무신론자나 칼빈주의자 모두 큰 삼각형과 사각형은 제대로 알아 맞췄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작은 삼각형과 사각형을 찾아낼 때는 칼빈주의자들이 속도가 평균 30 밀리세컨드(100분의 3초) 빨랐다. 이 정도면 미세한 차이지만 시각 인지 능력 테스트에서는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홈멜 박사는 “칼빈주의자들은 외부의 자극에 대해 신경을 덜 쓰는 반면에 평소 관심의 초점이 자아(自我)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칼빈주의자들은 자신의 일에 충실하다보니 다른 사람에 대해 참견도 덜 하는 편이어서 일상생활에서도 내면의 자아를 들여다보는 시간이 많다는 것이다.

홈멜 박사는 동일한 테스트를 가톨릭교, 유대교, 이슬람교 신자들을 대상으로도 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적 차이에 따라 사물을 보는 시각이 달라진다는 연구 보고는 이미 나온 바 있다. 사진을 볼 때 동양인은 테두리 주변(배경)에 시선을 집중하는 반면에 미국사람들은 사진에 등장하는 특정 인물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J-HOT]

▶ "한국 어려우니 돈 떼일까 中하청업체 난리"

▶ 룸살롱 사장님이 털어논 '가짜 양주' 감별법

▶ "사범님 때문에 남편 둘째부인 들일까 걱정" 태권도 하는 왕족

▶ 이런 일이! 롯데 들어서자 그 옆 이마트가 북적

▶ 美여행잡지 '강추! 세계 29곳'에 낀 한국의 명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