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노동계 파업 사태 對與 공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야권은 여당내부에서 일부 유화론이 제기됨에도 노정(勞政)간 갈등이 더욱 첨예해지자 강력한 대여(對與)공격에 나섰다.
신한국당의 노동법 변칙처리에서 시작된 노동계 파업이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강경한 연두 기자회견을 통해 증폭됐으며,공권력투입은 제3의 악재(惡材)에 해당한다는게 야권의 주장이다.
11일 20여건의 성명.논평.방침 발표등을 통해 여야 영수회담의 즉각 개최를 촉구하는 한편 비난의 화살을 집중시켰다.
국민회의는 11일 간부회의에서“정부가 파업 지도부에 대한 영장집행을 강행하면 사태는 걷잡을수 없이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신한국당이 대(對)국민홍보와 보완책 마련등을 결정한데 대해“홍보가 부족해 노동계가 파업한 것으로 본다면 아직도 상황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꼬집었다.
그는“일반법인 노동법을 날치기해 반발이 거세지자 특별법을 만들어 보완하겠다는 것은 자기 모순”이라며 논전(論戰)을 걸었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는 11일 간담회에서“金대통령이 야당의 대화요구와 노동자.경영인의 의견을 무시하고 독선적 정국운영을 하고 있다”고 가세했다.金총재는 당면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도 지시했다.
양당은 이에 따라 13일 반독재 공동투쟁위 개최를 시작으로 14일 합동의총,17일 시국 대토론회 공동 주최등 행동 통일에합의했다.
자민련이 제의한 구속자 법률구조단 구성에는 국민회의가 동참했다.파국에 대한 우려가 양당 내부의 다양한 이념적 분포를 제압해 나가는 것이다.
야권은 한편으로 확실한 대안(代案)제시를 촉구하는 노동계와 경제계의 추궁에“지금은 날치기 후유증과 파업 지도부 구속등 당면현안 수습에 주력할때”라고 방어논리를 폈다.
김대중(金大中)총재는“지금 쟁점사항에 대한 입장을 밝히면 시비와 혼란만 부른다”며 경총도 1월말까지 시한을 달라는 국민회의 제안을 찬성한 점을 부각시키도록 鄭대변인에게 지시했다.
야권은 또 국민회의가 11일 金대통령의 69회 생일을 맞아 축하화환을 보내는등 미소 작전도 병행하고 있다.김종필총재는“우리 싸움은 두 법안의 재심의에 있으며 장외투쟁과는 다르다”며 거듭 여야 대화를 촉구했다.

<김현종.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