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노조도 전략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파업 2일째를 맞는 서울지하철노조(위원장 金善求)는 강경분위기다.장기파업을 해서라도 정부의 날치기 법안통과를 철회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파업철회 시기를 놓고 고민하는 분위기도 역력하다.파업에 따른 여론악화 가능성도 있고 서울시가 노조집행부나 주요 파업노조원과 개인적 접촉을 시도해 파업철회를 설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명동성당에 본부를 둔 노조집행부는 29일 오전 민주노총의 여의도집회에 3천5백명의 조합원이 참석했다고 발표했다.
전체조합원 9천3백4명의 37%에 해당하는 숫자다.여기에다 현재 집회에 참석하지 않은 파업노동자를 합하면 전체노조원의 77.4%인 7천2백여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그 주장대로라면 일단 이번 파업에 대한 지 지는 상당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또 한가지 노조를 고무하는 일은 파업에 대한 시민반응이 대체로 긍정적이라는 점이다.노조는 파업 2일째인 29일 오후까지 시민들로부터“왜 시민의 발을 볼모로 투쟁하느냐”는 항의성 전화가 단 한 통도 없었다고 밝혔다.이는 89년과 9 4년 노사협상 결렬로 파업에 돌입했을 때 매일 수백통의 항의전화가 걸려 왔던 사실과 좋은 비교가 된다는 주장이다.
노조집행부 금찬원 상황실장(노조사무국장)은“80% 가까운 노조원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이상 파업철회는 있을 수 없고 이는 곧 민주노총의 투쟁지침과 일치한다”고 강변했다.
그러나 노조의 이같은 외면적 강경분위기는 파업장기화가 가져올부작용을 거론할 때면 신중해진다.먼저 시민들이 언제까지 노조의파업을 지켜만 볼 것인지 불확실하다는 분석을 하고 있다.
당장이야 대체인력등으로 지하철이 정상에 가깝게 운행되고있어 불편이 크지 않은 실정이고 정부의 노동법 날치기통과에 부정적인여론이 지배적이어서 시민들의 항의가 거의 없다고 하지만,파업이장기화하면 지금의 여론이 부정적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는 예측이가능하기 때문이다.따라서 노조 는 언제쯤,어떤 구실로 파업을 철회해야 하느냐는 점에 고민하고 있다.노조 일부에서는“1주일 정도가 파업기간으로 적당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다 지하철공사가 27일과 28일 두번에 걸쳐 이상경(李相卿)노무처장을 명동성당으로 보내 노조집행부와 파업 조기종결을위한 대화를 갖는 등 본격적인 대화국면 조성을 서두르고 있는 것도 노조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 다.공사측이 서울시의 협조를 받아 파업노조원 개개인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설득작업을 벌일 계획이고 적극 가담자는 사직당국 고발과 자체 징계를 한다는 방침이어서 자칫 노조내부가 양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노조의 한 간부는“민주노총이 공공노조의 경우 장기파업하기를 원치 않고 언젠가는 파업을 철회해야 하기 때문에 그 시기등 앞으로 투쟁일정에 대해 민주노총과 구체적인 의견조율을 하고있다”고 밝혔다.

<최형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