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호남대· 충북 영동대, 천안캠퍼스 무산될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일부 지방대의 천안.아산권 캠퍼스 신설 계획이 교육인적자원부의 제동으로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광주 호남대는 2002년 하이닉스반도체로부터 천안시 성거읍 문덕리 일원 20여만평을 매입, 제2 캠퍼스 신설을 추진해 왔다. 천안은 수도권과 가까와 광주보다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이 적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충북 영동 영동대도 지난해초 아산 신도시 건설 예정지역 인근 아산시 음봉면 동암리에 제2캠퍼스 용 부지 12만평을 사들였다.

그러나 교육부는 최근 이들 대학의 캠퍼스 신설 허가 신청을 반려, 현재까지 불허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지방대가 특정 지역에 밀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두 대학 관계자는 "교육부의 신청 반려 이후 재신청은 하지 않았으나 캠퍼스 설립을 포기하지는 않고 여건 상 잠시 보류중"이라고 밝혔다. 올해 안에 충청권에 신행정수도 후보지가 결정되면 다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호남대는 당초 2006년까지 1000억원을 들여 천안 캠퍼스를 건설, 환경디자인공학부.건축토목공학부 등 2개 학부와 정보산업대학원 등을 옮길 계획이었다. 영동대도 아산캠퍼스에 신설학과인 경영학과를 비롯, 20여개 학과를 설치하려 했다.

이들 대학들의 '충남 캠퍼스'설치가 어려움을 겪게 된 데는 지역 대학들의 반발이 크게 작용했다.

충남 서북부 지역 19개 대학 총학장들이 모여 만든 '호서지역 대학총학장협의회'는 이 지역에 추가로 캠퍼스가 설립되는 것을 반대하는 내용의 건의문을 최근 교육부에 제출한 바 있다.

수험생 숫자가 대학 입학 정원보다 줄어든 현실에서 수도권 및 영.호남지역 대학들이 충청권에 캠퍼스를 새로 설립하면 국토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주장이다.

협의회 소속 한 대학 관계자는 "올해 입시에서 대전 지역 대학들이 신입생 충원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며 "내년엔 천안.아산권 대학들도 비슷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내년에 아산신도시 개발이 시작되면 이미 부지 구입 양해각서를 체결한 홍익.단국.순천향대 등 서울에 본교를 둔 대학들도 이 지역에 캠퍼스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방대학들의 충청권 캠퍼스 건립이 국토 균형발전 정책과 맞지 않는 데다 기존 캠퍼스 지역 주민들의 이전 반대 의견도 만만찮아 쉽게 허가가 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천안=조한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