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 번진 그릇된 한국 정보 정부가 나서 바로잡는 노력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의 위기설은 과장돼 있으며 국가 부도까지 갈 가능성은 없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 월가 전문가들과 끊임없이 접촉해 온 마이클 라니에리 국제금융센터(KCIF) 뉴욕사무소장은 일부 외국 언론에 등장했던 한국 위기설을 일축했다. 그는 “외국 언론이 수치상으로 나타난 한국 경제의 겉모습만 볼 뿐 내부 요소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외부 불신을 씻으려면 경상수지 흑자 전환, 외환 안정화 등 원론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일부 외국 언론에선 한국이 아이슬란드 등에 이어 부도 위험이 있다는데.

“그간 금융 전문가, 신용평가사 등 매일 월가의 전문가 등과 접촉해 왔다. 그러나 누구도 한국이 다음이라곤 하지 않는다. 물론 유동성 문제가 있지만 위태롭지는 않다. 지난 몇 주, 한국 정부가 취한 조치들은 유동성 문제 해결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의 통화 스와프 체결 등은 긍정적이다. 따라서 일부 외국 언론의 평가는 과장됐다고 봐야 한다. 그들은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채무 변제 능력을 잘 모른다. 단기간의 유동성 문제는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은 충분한 상환 능력을 갖고 있다.”

- 이들 언론은 왜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됐나.

“한국은 1997~98년 심각한 외환 위기를 겪어 지금도 외국 언론들의 현미경 밑에 놓여 있다. 게다가 경상수지 적자, 과도한 예대율(預貸率), 원화의 불안정성 등 문제점도 없지 않아 외국 언론들이 한국 경제를 의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 금융기관들의 본 모습을 보면 올바른 판단을 내릴 것이다. 한국은 충분한 외환을 보유하고 있다. 또 한국 금융기관들의 대출 내용도 양호하다. 단기 유동성처럼 양이 문제될지는 모르나 질적으론 아무 문제가 없다.”

- 어떻게 문제를 풀어야 하나.

“정부는 외국에 번진 그릇된 정보들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상당수의 시장 분석가, 경제학자들까지 틀린 정보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3~4주 해외 언론에는 선정주의에 물든 기사가 다수 실렸다. 예컨대 지난주 비즈니스위크의 경우 한 면에서는 한국을 위험지역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다음 페이지에선 풍부한 외환보유액을 거론하며 한국이 이번 금융위기를 충분히 헤쳐나갈 거라고 분석했다. 같은 매체에서, 그것도 바로 옆 페이지에서 완전히 다른 얘기를 쓸 수 있는가.”

- 월가에서 거론되는 해법은 .

“경상수지의 흑자 전환이 제일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다행히 유가와 원자재 값이 떨어져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원화 안정화도 중요하다. 그래야 원화 매각 사태가 줄 것이다. 끝으로 한국 정부의 각 부문은 한목소리여야 한다. 정책 초점이 성장과 물가 안정 중 어느 쪽인지 다른 얘기를 할 때가 적잖았다.”

- 원·달러 스와프는 효력이 있을까.

“이는 일종의 보험이다. 필요 여부를 떠나 한국 등 일부 국가를 보호하겠다는 미국의 의지 표시인 것이다. 외국인들은 한국이 IMF(국제통화기금)에 갈 걸로 믿진 않지만 최악의 경우 미 FRB의 도움을 얻을 거란 점은 큰 신뢰를 심어줄 것이다.”

-향후 전망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성장속도가 떨어질 것이다. 무역 상대국들이 경기 침체를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정책이든 내년에 4% 성장을 넘긴 어렵다. 반면 한국이 경기 침체로 진입할 거로는 믿어지지 않는다. 단기에 외국 자본이 한국에 몰려올 것 같지도 않다. 외국 금융기관의 자본들은 해외가 아닌 그 나라 내부로 투입될 것이다.”

뉴욕=남정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