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명 외무장관 돌연 사표-건강이유 인민군前歷 때문인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공노명(孔魯明)외무장관이 4일 오후 이수성(李壽成)총리에게건강상의 이유로 사표를 제출했으며,李총리는 5일 오후 주례보고때 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게 이를 보고했다』고 윤여준(尹汝雋)청와대대변인이 발표했다.
사표는 금명 수리될 것으로 알려졌다.孔장관은 4,5일 이틀간건강진단을 표면상 이유로 출근하지 않았다.

<관계기사 4면> 정부 소식통은 『孔장관은 최근 한국전쟁 당시의 인민군 복무사실과 관련해 확인하려는 측에 시달려 괴로워한것으로 안다』고 말했다.尹대변인은 『孔장관의 인민군복무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해결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 고위소식통은 『孔장관의 인민군 복무가 사실이라면 그후의 행적을 떠나 고위공직자로서 도의적 문제가 될 것』이라고말했다. 孔장관은 서울대법대 재학(졸업은 61년)중 53년 육군통역장교로 5년간 복무한 후 58년 외무부에 들어와 38년간외교관으로 일해 온 것으로 인사기록부에는 적혀 있다.
소식통은 孔장관은 유능한 외교관으로 보수적 시각에서 전력(前歷)과 연관해 어떤 잘못도 저지른 일이 없다고 전제하고,그러나공직임용 당시 과거 인민군 복무경력을 밝혔다면 임용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孔장관건(件)과 함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대사에현직 경제각료를 임명키로 방침을 세워 일부 보각(補閣)이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孔장관의 후임으로는 유종하(柳宗夏)청와대외교안보수석.박건우(朴健雨)주미대사.박수길(朴銖 吉)주유엔대사.이기주(李祺周)외무차관등이 거명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는 1950년의 인민군복무를 이유로 그후 전력과 관련해 별 잘못을 저지르지 않은 유능한 인재를 46년이 지난 지금 새삼 문제삼는 것은 지나치다는 동정론도 일고 있다. 孔장관은 5일 백내장수술 후유증치료와 종합건강검진을 위해 국군 서울지구병원에 입원해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박보균.배명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