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교과서 한국 관련 내용 왜곡 이대로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외국 교과서에 비친 한국은 아직도 분단.피지배 사실이 지나치게 강조되거나 잘못된 정보.통계를 이용,한국을 미개발 국가로 소개하는등 일그러진 모습이 대부분이다.외국의 자라나는 세대들이이같은 교과서로 한국을 배울 경우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정부는 82년부터 교육개발원을 통해 「한국 바로 알리기」사업을 전개,외국 정부에 교과서 수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대한 왜곡은 여전하다.
피지배 사실이 지나치게 강조되거나 잘못된 정보.통계를 이용,한국을 미개발 국가로 소개하는등 일그러진 모습이 대부분이다.외국의 자라나는 세대들이 이같은 교과서로 한국을 배울 경우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정부는 82 년부터 교육개발원을 통해 「한국 바로 알리기」사업을 전개,외국정부에 교과서수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대한 왜곡은 여전하다.
◇왜 개선안되나=외국교과서의 수정문제는 그 주체가 우리가 아니라 상대국가라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 있다.우선 사관(史觀)문제다.상대국 역사학자들의 사관이 우리와 다를때 우리 주장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예컨대 「식민지 근대화론」 의 경우 일본은 식민지시절 한국에 철도.도로등 사회간접시설을 설치했기 때문에 한국의 근대화가 앞당겨지는등 오늘날 한국의 경제성장에 기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상대국과의 이해관계나 국제적 관습문제도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가령 독도는 일본땅,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해온 것이나 한국인을 조선인으로 기록하는 것등은 상대국과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국제적 관습에 따른 것들이어서 짧은 시일안에시정되기 어려운 사안들이다.우리의 시정요구가 상대국에 전달됐다하더라도 해당국의 교 과서 개편시기와 맞아 떨어져야 하고 상대국의 관심과 호응이 있어야 한다는 점도 개선이 어려운 이유중 하나다. ◇어떻게 해야 하나=일본의 경우 50년대부터 외국교과서의 왜곡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국제교육정보센터를 개설,각종자료를 개발해 전세계를 상대로 「일본 바로 알리기」에 나서 각국의 교과서가 일본을 정확하고 비중있게 다루는 성과를 거뒀다.
교육개발원의 「한국 바로 알리기」사업은 연간 예산이 1천5백여만원에 불과해 실적이 미미하기 그지없다.
따라서 예산을 확충,한국관련 자료를 현지어판으로 만들어 해당국가에 끊임없이 보급해야 한다고 관계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또 외국교과서 관계자들을 초청,세미나를 열거나 역사.문화.산업.교육현장등을 견학시켜 한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어야한다고 강조한다.이와함께 우리만 일방적으로 수정을 요구할 것이아니라 우리 교과서에도 외국관련 내용중 왜곡되 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과감히 수정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도움말 주신분:이범주 교육부 교육과정 담당관,손용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백은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