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북한 亞太평화委 책임참사 원동연 박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의 군축전문가인 원동연(元東淵.50)조선 아태평화위원회 책임참사는 중앙일보가 주관한 베이징 통일학술회의에서 북.미관계및 군축.평화문제와 관련한 북측 입장을 비교적 상세히 밝혀 눈길을 모았다.元박사는 47년 함북청진 출생으로 김 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평통 서기국 부장을 지냈다.지난 92년에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 위원으로 남북기본합의서 작성에도 깊이 관여했던 인물이다.다음은 元박사와의 일문일답.
-개혁.개방에 대한 북한측 견해는.
『어떤 개혁.개방인가 하는 것이 문제다.사회주의 체제에 반하는 요소를 지닌 개혁.개방이라면 우리는 절대 하지않을 것이다.
기대하지 말라.』 -4자회담에 수정제의를 하는등 지연전술을 펴면서 고민하는 흔적이 보이는데.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기본원칙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큰 걱정은 없다.잘 풀려나갈 것으로 낙관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북한이 수십년간 사용해오던 미제(美帝)라는 용어를 「외세(外勢)」로 바꾸었다.중대한 변화가 아닌가.
『우리도 변한다.』 -북한이 대미관계 개선에 주력하고 있는데. 『외세와 대화하면서 자주를 지킨다는게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우리는 미국과 결산할 것이 있기 때문이다.국제법적으로 미국과 교전관계를 청산하지 못했으므로 해결해야 한다.일본과의 과거청산문제도 마찬가지다.』 -미국과 관계개선하면서 남한을 배제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남쪽도 중국.러시아와 수교를 통해 일종의 결산을 했다.그 과정에서 우리는 배제됐다.현실적으로 미국으로부터 가장 큰 정치.군사적 위협을 받고있는 우리가 잠정협정등 현안을 위해 미국과접촉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군축.평화문제 전문가로서 최근 몇년간 북한핵을 둘러싼 미국등 국제사회의 의혹이나 논란에 대한북의 입장을 정리한다면.
『핵문제는 우리보다 미국에서 더 적극적으로 나왔다.솔직히 말해 우리는 핵협상을 조선반도 평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라생각했고 놓칠 수 없었다.』 -북.미 관계개선 문제와 관련해 남측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
『우리가 미국과 잠정협정 체결을 주장하는 것은 남쪽에도 도움이 된다.정치적으로 남측은 부담을 덜게되고 경제.군사적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다.남조선을 따돌린다는 것은 공연한 노파심이다.』 베이징=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