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경고 '非常策' 요구-신한국당 수습책 준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귀국과 신한국당의 경제수술책이 임박한가운데 신한국당내에서 「위기」를 경고하고 「특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한층 높아져 가고 있다.
최근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위기의 현실을 국민에게 솔직히알리고 고통의 공유를 호소하자』는 논의가 상당히 대두되고 있는것. 과거의 여당도 그랬지만 최근까지도 여권내에서는 위기를 자인(自認)하면 야당논리에 동조하고 실정(失政)을 인정하는 것이되며 이는 내년 대선에서 여권에 불리하다는 논리가 더욱 묵직했었다. 여권의 염려를 증명하듯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는 16일 특별회견을 갖고 여권을 몰아세울 태세다.
강삼재(姜三載)총장은 13일 『「위기가 아니라 하강」이라는 전임경제팀의 논리가 한동안 여권에 번지다 김영삼 대통령의 인식이 많이 달라졌으며 팀이 교체됐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승수(韓昇洙)경제팀도 시간이 걸리고 있지만 곧 같은인식 아래 근본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덕룡(金德龍)정무1장관은 『이제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다』며 『사정을 국민에게 솔직히 알리고 임금등에서 고통의 분담을 호소하는 방법외에는 없다』고 피력했다.
경고강도가 가장 강한 이는 황병태(黃秉泰)재경위원장.그는 당내의 차기대선논의를 비판하면서 『먼저 위기부터 해결하자』고 주장하고 있다.그는 구체적으로 『고금리.고임금.고물류비.고물가의4대 병리(病理)중 우선 개선이 가장 쉬운 금리 부터 낮춰야 한다』고 주장한다.그는 『경제성장률을 5~6%로 내려 자금수요를 줄여야 한다』는 수요축소론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위기론자 서상목(徐相穆)의원은 「2년간 임금동결론」을 제시한 바 있는데 금리에 대해서는 『외국자금의 도입을 풀고금융산업을 과감히 개혁해야 한다』는 공급증대론의 입장에 서 있다. 박찬종(朴燦鍾)고문은 13일 서울 이코노미스트 클럽의 강연에서 『한승수 경제팀은 9.3대책에서 진단은 정확했으나 결의.긴장.분발의 느낌이 없어 어딘지 자신 없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경제정책관계자는 『정부도 경기하강보다는 위기쪽에 더욱 무게를 실어 가고 있으며 韓부총리가 귀국하는 대로 또다른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